영일만항 특화발전 간담회…활성화 방안 연구 발표

포항영일신항만 건물 모습. 황영우 기자
코로나19와 러시아 루블화 폭락 등 전세계적으로 해상 물류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포항 영일만항의 특화발전을 위해서 ‘국가 탄소 중립 허브항’ 구축을 위해 거버넌스(governance)를 확보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다.

거버넌스는 일반적으로 과거의 일방적인 정부 주도적 경향에서 벗어나 정부·기업·비정부기구 등 다양한 행위자가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국정운영의 방식을 말한다.

14일 대구경북연구원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30분께 포항영일신항만(주)(이하 PICT) 건물 5층 대회의실에서 대구경북연구원이 주관 및 주최를 한 ‘포항영일만항 특화발전방안 간담회’(이하 간담회)가 개최됐다.

오창균 대구경북연구원장·노윤진 대구가톨릭대 교수·이희용 영남대 교수·김정환 대구가톨릭대 교수·송경창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김종훈 포항시 신북방정책과장·오인환 포항영일신항만 운영그룹장 등 각 분야 관계자 15명이 자리에 모였다.

간담회에는 우선 PICT의 주요 현황 등이 설명됐다.

PICT는 지난 2001년 10월 포항영일만항 1-1단계 민간투자사업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지난 2004년 5월 설립돼 영일만항을 담당하는 민간회사다.

주주현황으로는 DL주식회사 29.5%·코오롱글로벌 15.3%·한라 13.5%·두산건설 10.8%·경북도와 포항시 각각 10%·포스코건설 7.2%·흥우건설 3.6% 등이다.

총투자비는 정부 1232억원·민간 1852억원 등 총 3084억원이다.

영일만항은 베트남·말레이시아·중국·싱가포르·필리핀·러시아·일본 등 7개국 총 20항구를 대상으로 항로를 개척 중이다.

주요 화물로는 KD(Knock-down, 완제품 수출입이 아닌 부품이나 반제품 형태로 수출입하고 실수요지에서 제품으로 완성시키는 현지조립방식) 방식·와이어로드(철강재 중 봉형강류에 속함, 코일 형상으로 단면이 둥금)·우드펠릿(나무 톱밥 등 고체연료로 쓰임) 등이다.

14일 포항영일신항만 건물 대회의실에서 ‘포항영일만항 특화발전방안 간담회’가 열렸다. 황영우 기자
대구경북연구원은 지난 1년간 40대 젊은 교수 8명이 모여 우리지역 영일만항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했다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포스트 코로나 이후 전세계적인 물동향 감소로 인해 이에 대응하는 항만 활성화 노력 필요성이 증대되고 국내외 환경변화에의 적극적 대응 및 지역과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동반성장체계 구축 필요하다고 발표배경을 설명했다.

무엇보다도 영일만항 화물유치 및 발전방안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차별화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부산항으로 경북·대구의 물동량이 대다수 이동하는 것에 대한 원인으로 △선박스케쥴에 대한 차질 우려 △영일만항의 항로 부족 △영일만항의 물동량 저조 △수출상대국의 바이어가 요구 등이 제기됐다.

이에 △정기항로의 기항지 확대 △저렴한 항만하역요금 △정기항로의 기항빈도 증대 △부산항과 동일한 업무흐름 보장 △물동량 처리 신속성 확보 △항로 및 항차 수 확대 △포워더·물류업체의 유인책 필요 등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현재 경북지역은 철강이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32.3%를 차지하며 가장 높고, 벌크 물동량 역시 철강이 전체 물동량의 86.6%로 최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구지역은 컨테이너 물동량 중 일반차량이 18.5%·지와 판지 17.7%·플라스틱과 그 제품 15.1%·보일러 기계류 12.4% 등 순이고, 벌크 물동량은 일반차량 품목이 전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영일만항의 강점으로는 △경상북도 유일의 수출입 관문 △배후산업단지 조성 및 대형화주 존재 △신북방항로 보유 △인입철도 연결 완료 △지자체 및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의지 등이 손꼽혔다.

반면 약점으로는 △낮은 항만 인지도 △물동량 한계 △정기선 항로 다양성 및 항차 한계 △산업단지 연계 물동량 창출 필요 △규모의 경제 달성 한계 등이다.

종합토론시간에서는 연구에 참여한 교수진들과 현장 관계자와의 현안 접점 찾기가 진행됐다.

1차 농수산물 유통 및 가공을 포함한 바이오 헬스 품목의 콜드체인(저온으로 신선도를 유지하는 유통체계) 비즈니스 모델, 우드펠릿 활용 미래가치 창출, 경북·대구 자동차 부품 공동물류센터 구축, 중고자동차 및 이차전지 연계 항만서비스 고도화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희용 영남대 교수는 “대형화주인 포스코의 선재에서부터 이차전지 나아가 수소에 이르는 물류의 파생수량 특성을 살려야 한다”며 “경북도·포항시·PICT 등 다 모이셨는데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서로 힘을 합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정환 대구가톨릭대 교수는 “정부의 영일만항에 대한 관심이 다소 떨어진다고 보여 진다”며 “경북도와 포항시 관계자들이 설명한 것처럼 영일만항 주체인 중앙정부가 적극적인 진행과 결정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현재 연구 분석안이 반영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황영우 기자
황영우 기자 hyw@kyongbuk.com

포항 북구지역, 노동, 세관, 해수청, 사회단체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