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만수기자

한나라당 일부 소장파 의원들이 제기했던 '이상득 2선 후퇴론'이 잠잠해졌다.

정두언, 남경필, 김용태, 나경원 등 당내 소장파 의원들이 '인사 개입설'을 들며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의 '2선 후퇴'를 주장했지만 '3일 천하'에 그쳤다. 시작은 요란했지만 실체가 없는 '설(說)'에 근거한 탓에 동력을 급격히 잃어 버린 것.

'권력 사유화' 문제를 맨 처음 제기했고 박영준 비서관의 자진사퇴를 이끌어낸 정두언 의원은 "끝을 보겠다"며 호기롭게 칼날을 갈았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꾸짖자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권력사유화와 관련된 글을 모두 삭제하며 자세를 낮췄다. 이 대통령은 13일"시국이 어렵고 엄중해 힘을 합쳐 난국을 헤쳐가야 할 텐데, 일부 의원의 묻지마식 인신공격 행위와 발언들이 걱정스럽다"는 메시지를 통해 소장파들의 가벼운 언행에 일침을 가했다. 이 발언이 전해지자 이 대통령 복심으로 불리던 정 의원 및 소장파 의원들은 '대통령의 마음을 읽고' 재빠르게 침묵모드로 전환하면서 '권력투쟁설'이 쑥 들어갔다.

이런 상황변화는 이상득 전 부의장의 일관된 원칙 고수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이 전 부의장은 자신의 양심을 걸고 "절대 인사에 개입하지 않았다"며 '배후설'을 일축했다. 이 전 부의장은 지난 9일 정두언 의원이 의원총회에서 충정 발언이라며 '인사 실패 책임론'을 거론할 때도 "그럴 수 있다"며 너그러운 태도를 보였다.

일부 소장파들의 공세에 대응하는 대신 국회 최다선(6선) 의원으로서 당내 화합에 비중을 두는 행보를 보여왔다. 그러면서 당의 '어른'으로서 당의 갈등을 조정하는 역할은 소홀히 하지는 않았다. 이런 움직임이 일부 소장파들에게 '인사 개입'이란 오해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부의장은 소장파들의 '이선 후퇴론'에 대해 "나는 정풍대상이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 내 퇴진 문제는 나와 우리 지역구민들이 결정한다. 그런 경솔한 이야기를 해서는 안 된다"고 못을 박았다.

총선 당시 남경필, 정두언 등 '55인'의 불출마 공세를 '지역발전 역할론'으로 막아낸 이 전 부의장은 이번에도 '지역주민 의사 존중'이란 원칙에 입각해 퇴진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했다.

일부 소장파들의 근거없는 오해로 빚어진 '퇴진 해프닝'은 이 전 부의장의 시선이 '권력'보다는 지역발전을 바라는 민심(民心)에 맞춰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줬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