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오 경북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사망원인은 최근 통계에 의하면 암, 뇌혈관 질환, 심장질환의 순서이며 간질환은 8번째 정도이지만 연령대별 사망원인을 분석해 보면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특히, 경제적으로 막중한 책임을 진 40대와 50대 한국남성에서는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각각 3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어 보건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간질환의 원인으로는 B형 간염이 약 60-70% 정도를 차지하며 그 외에 C형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등이 있다.

 

B형 간염은 성인에서 감염되면 대개 90%에서는 회복이 되고 항체를 가지게 되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과거에 1980년대 이전에는 효과적인 예방백신이 없어 산모에게서 신생아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수직감염)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율이 전 세계적으로도 높은 국가로 분류되었으나 1980년대 초 효과적인 백신의 개발과 신생아 예방 접종으로 현재는 청소년층에서의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율은 극히 낮아 선진국 수준으로 되었으나 중장년층 이상에서는 아직도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율이 높은 실정이다

 

만성B형 간염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간세포가 파괴되거나 손상되는 염증반응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질환이다. 만성B형 간염은 자연적인 경과를 밟게되면 약 20-25% 정도에서는 간경변증과 간암으로 이어진다. 최근 우리나라의 간암 발생률은 B형간염이 줄어들며 함께 줄어드는 추세였지만, 여전히 국가암조기검진사업 대상인 5대 암(간암, 위암, 폐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중 하나일만큼 심각하다.

 

특히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정상인에 비해 간암 발병 위험이 100배까지 높기 때문에 평소 건강검진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B형간염의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무엇 일까?. 먼저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라면, 혈액검사, 간초음파 검사등을 통하여 간에 염증이 거의 없는 단순한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무증상 바이러스 보유자 또는 비활동성 바이러스 보유자)인지,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만성 B형 간염인지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B형 간염은 자연경과상 다양한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어떤 단계에 있는 지를 평가하는 것이 관리 및 치료의 첫걸음이다.

 

단순한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 및 검진을 통해 6개월 간격의 정기검진만으로 충분하며 정기검진에는 간기능 검사, 바이러스 정량검사, 간암 종양 표지자등과 함께 반드시 간초음파 검사가 포함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정기검진의 목적은 간염의 평가도 있지만 일반인에 비해 높은 간암 발생률을 고려할 때 간암의 조기 발견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간암은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간기능은 물론 간암표지자 검사에서도 정상으로 나올 수 있고 또한 간은 소위 '침묵의 장기'라는 별명 처럼 많이 진행되지 않은 이상 자각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초음파 검사는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5-10mm 정도의 조기 간암도 잘 발견해 낼 수 있으며 조기 간암은 완치가 가능하다.

 

단순한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가 아닌 만성 B형 간염의 경우는 전문의의 판단에 따라 항바이러스 치료를 하여야 한다. 과거에는 B형간염을 위한 치료법이 뚜렷하지 않았지만 현재는 인터페론이라는 주사제와 다수의 경구용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어 실제 임상에서 많은 환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어떤 약제를 사용할 것인지는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치료의지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B형 간염의 치료는 궁극적으로는 장기적인 치료를 통하여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이나 간암의 발생 예방에 목표를 두고 있다

 

B형간염은 환자 스스로의 실천 의지와 꾸준한 검진 노력만 있다면 누구나 이겨낼 수 있는 질환이다. 침묵의 장기, 간이 신호를 보내기 전에 먼저 정기적으로 확인 하자. 소중하고, 건강한 간, 건강한 삶을 위해!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