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 대상 활용교육 및 홍보·관리 제대로 안돼…심정지 환자, 골든타임 5분인데…

500세대 이상 아파트는 자동심장충격기 의무 설치 대상이지만 설치가 미비해 대안마련이 절실하다. 반면 공중전화 등 의무설치 이외의 지역은 잘 구비돼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종현기자 salut@kyongbuk.co.kr

긴급상황에서 생명을 지키는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시민들의 무관심으로 의무설치규정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뿐 아니라 설치된 것도 무용지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심장충격기는 심실세동 환자에게 짧은 순간 강한 전류를 심장에 통과시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는 장치다.

자동심장충격기는 심폐소생술과 함께 심장기능이 정지되거나 호흡이 멈춘 위급상황에서 응급 환자를 살릴 수 있는 필수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자동심장충격기가 법적으로 구비의무대상인지 조차 모르고 있으며 필요성에 대한 무관심으로 설치의무대상지역에서 조차 외면받고 있다.

대구지역에 설치 신고된 자동심장충격기는 지난해 12월 말 현재 총 298대로, 의무설치 규정인 426대에 턱없이 못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119구급대가 의무설치규정 59대보다 많은 68대, 철도역사가 의무설치규정 2대보다 많은 13대를 각각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구의 경우 의무설치대상이 아닌 공중전화 부스, 학교 등에 106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공서 등의 의무설치는 잘 지켜지는 반면 문제는 일반시민들의 관심이 필요한 아파트 등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의 경우 설치비율이 눈에 띄게 떨어진다.

대구는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의무설치 대수가 320대지만 56대만 구비돼 있어 설치비율이 17.5%에 불과하다.

이처럼 공공주택 등의 의무설치 대수가 떨어지는 것은 관련 법에 구비의무대상과 관리 규정만 명시돼 있을 뿐 미설치나 관리 미숙에 대한 처벌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이 의무 대상이지만 주민들의 의견에 따라 설치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설치비용만 수백여만원이 소요되고 건전지 등 소모품에 소요되는 금액도 많아 설치를 꺼리는 원인으로 꼽힌다.

이와 함께 아직까지 자동심장충격기의 중요성이나 사용법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낮은 것도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 및 대처 능력을 떨어뜨리고 있는 상황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부 사용법에 대한 교육이 이뤄지고 있지만 대부분 일반인의 경우 사용법을 알지 못하고 어디에 설치돼 있는 지도 모르고 있다.

이 때문에 큰 비용을 들여 설치한 기기가 자칫 위급한 상황에서도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자동심장충격기의 필요성과 활용방법을 일반인을 대상으로하는 적극적인 교육 활동 등을 펼쳐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 심장 전문의는 "기본적으로 설치 유무가 중요하지만 현실은 인식자체가 떨어진다"며 "교육 등을 통해 어디 설치돼 있다는 것을 알리고, 사용 방법도 숙지하는 것이 응급상황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