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기술은 향후 10년 이후 산업경쟁력의 결정적인 척도가 될 것으로 예측되며 국가의 생존전략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80년대 반도체, 90년대 초소형 정밀기계가공(MEMS)기술 개발에 집중투자해 국가산업경쟁력을 제공한 것과 같이 나노기술에 대한 정부주도의 집중적인 산업화 추진전략이 필요하다.
선진국에서는 나노기술산업화개발을 국가 생존전략사업으로 추진하면서 치열한 산업화 개발경쟁을 전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올해 초 김대중 대통령이 신년사를 통해 정부가 나노기술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히고 7월까지 나노기술 종합발전계획을 마련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산자부는 ‘나노기술 산업화 추진전략’에 의거, 나노기술지원 기반 구축을 위해 2005년까지 500억원 규모의 나노전문산업화 센터와 차세대 사업분야(나노전자, 나노광학, 에너지 저장, 나노바이어)에 매년 200억원 규모로 10년간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미국의 경우 2000년 2월 클린턴 대통령이 선언한 NNI(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를 통해 국가연구기관과 우수 대학에 연간 5억 달러 이상의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으며 나노관련 기초연구, 대도전(Grand challenge), 네트워크 기반 구축, 연구기반, 윤리적·법적·사회적 영향과 인력계획 등 5개분야에 걸친 추진전략을 설정했다.
일본도 2001년 3월 경제산업성(METI)과 문부과학성이 공동으로 ‘나노기술이 창조하는 미래사회(n-Plan 21’를 통해 나노기술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올해 3억9천만원달러를 투입, 나노기술산업화에 총력을 집중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