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랜 논란 끝에 지난 22일 주 5일 근무제 도입을 확정하고 재계와의 조율에 나섰다.
주 40시간 5일제 근무제 도입은 도시민들의 여가시간 증대와 검소한 여가문화 확산, 여행상품의 다변화를 필연적으로 동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움직임속에서 우리는 여행상품의 다변화를 위해서 고려해 볼 만한 것이 있다.
그 실례로 프랑스를 보자.
프랑스의 경우 세계 최초로 주 35시간제를 실시한 2000년부터 장거리 해외여행이 줄어든 대신 가깝고 자주 이용할 수 있는‘지트’라는 농촌관광 쪽으로 관심이 쏠리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프랑스는 녹색관광 정책을 가장 먼저 추진한 나라이다.
1950년대부터 제도적 뒷받침을 위해 정부에서 법령을 제정하는가하면 보조금까지 지원하며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루어 냈다.
현재 통계적으로 볼때 프랑스 국민의 20% 가량이, 1970년대부터 녹색관광 정책을 시도한 독일은 국민의 10% 정도가 농촌체류형 휴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1970년대부터 도시화에 따른 탈농현상을 막고 농촌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녹색관광 정책을 도입한 영국은 전체 농가의 7%가 농촌민박, 오토캠프장 등 농촌체류형 그린 투어리즘에 참여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대만이 1989년부터, 일본이 1990년부터 농촌살리기의 유력한 방안으로 녹색관광 정책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주 5일 근무제가 도입되면 농가에 체류하면서 농사체험과 주변관광 등을 겸하는 저렴한 비용의 녹색관광이 농촌의 새로운 ‘뜨는 상품’으로 각광받을 것이다.
여가 시간은 늘어나고 잔업시간은 줄어드는데 근로자들의 수입이 늘지 않는다면 자연적으로 여가문화는 검소해지고 농촌체류형 녹색관광 상품들이 인기를 누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지금 우리 농촌은 수입개방 정책의 여파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그 대안마저 뚜렷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처럼 농촌이 힘겹게 버텨나가고 있는 상황속에서 농촌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지방자치단체들은 개발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농도(農道)인 경상북도는 농촌을 관광 자원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적극 살려 볼 만하다.
그 동안 정부는 1984년에 관광농원사업, 1990년 농어촌휴양단지사업, 1994년 농촌정비법 등 유사한 정책을 시행해 왔으나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따라서 경상북도는 정부의 정책들이 실패한 원인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그 유력한 대안으로 농촌 녹색관광 사업을 본격적으로 검토해 볼 만하다.
이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 중에서 유일하게 시민단체의 건의를 받아들여 구미시는 지난 2월부터 농촌지역 7개 마을을 선정해 농촌체험 녹색관광 사업 상품 개발에 들어갔다.
이제 더 이상 농촌이 무너지고 있는 현실을 보고만 있을 수 없다.
농촌은 우리 모두가 돕고 지켜야할 국민공유의 유산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