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은 간지로 임오년(壬午年), 말띠해다.
말은 12지 중 일곱 번째 동물로 시간은 오전 11시~오후 1시, 방위는 남쪽, 달로는 음력 5월이다. 말은 생동감과 박력을 상징한다.
기마민족의 후손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옛부터 말은 우리민족과 친근한 동물이었다.
대능원의 천마도 등 벽화와 기마인물형 토기나 토우, 신화, 전설, 민담, 속담, 시가, 민속신앙, 민속놀이 등에 자주 말의 모습이 등장한다.
3세기 후반 중국인 진수가 쓴 ‘삼국지’‘동이전’부여전에는 “그 나라에는 좋은 말이 난다”는 구절이 있다.
또 이 책의 고구려 및 예조에도 말에 관한 내용이 있다.
이 책의 한(韓)조에는 마한은 우마를 탈줄 모르는 반면 변·진한은 우마를 탄다고 기록했다.
더불어 이 기록에는 진한의 경우 소와 말을 장사지내는데 다 써버린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천마도나 기마인물형토기 등은 아마도 죽은이의 영혼이 저승에서도 말을 타라는 뜻으로 그려넣거나 만들어 넣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등에는 박혁거세, 금와왕 탄생을 말이 미리 알려주는 영물로 등장한다. 또 백제가 폐망할 때는 말이 나타나 흉조를 예시해 준다.
또 ‘삼국사기’에는 백마를 잡아 그 피를 입에 찍어 바름으로써 화친을 맹약하는 의식이 기록돼 있다.
이러한 민속문화를 통해 우리민족에 있어 말은 신령스런 동물로 여겨 졌음이 틀림없다.
말띠해에 태어난 사람은 다른 띠에 비해 띠타령이 심하다. ‘말띠 여자 팔자세다’, ‘백말띠 여자는 더욱 팔자가 세다’는 등의 속담이 있다. 그러나 이같은 속담의 기록은 옛문헌에서 찾아 볼 수 없다.
조선시대에는 말띠 왕비가 아주 많았으며 말띠의 위상이 추락한 것은 아마도 일제 강점기 이후인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여자를 꺼리는 습속이 있었다는데 이 고약한 풍습이 이 땅에 이식된 것으로 여겨진다.
대구·경북지역에서는 말과 관련된 유적이 많다.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는 신라시대 이후 조선시대까지 말을 방목해 길렀던 목장성터가 남아 있고, 경주 천마총의 천마도 등의 유적과 유물이 남아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