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지하경제 규모가 비대해지고 있다는 사실은 사회 구석구석에 음지(陰地)가 더욱 많아지고 있다는 것으로 이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국민적 과제다.
한국경제개발연구원(KDI)은 지난달 말 국내 지하경제 규모(95년 현재)는 52조 1천억원으로 국민 총 생산(GNP)의 14.3%에 달한다고 분석했지만 국민들의 체감수치는 이보다 훨씬 높을 것이다. 지하경제는 측정방법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문제는 90년대 이후 비율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는 데 있다. 사실 KDI분석대로 지하경제가 14%대라면 이는 거의 선진국 수준이다. 그러나 지유기업원은 지하경제 규모를 98년 기준으로 GNP의 26.1%(약 115조원)로 보고 있으며 외국 전문가들 30~5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하경제 규모는 한 나라의 투명성을 가늠하는 잣대이다. 소득 원천이 명확히 밝혀지고 시장기능이 제대로 돌아가면 숨쉴 공간이 없다. 지하경제는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사회 병리 현상이다. 지도층부터 솔선수범하여 원칙을 세워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