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서원 가는길 외래 꽃 심다니

여기 저기 어떤 일간지들에 실린 기사 한 토막이 마음에 걸린다.
안동시가 지역을 찾는 관광객을 위해 도산서원 관광지 도로변에 우리의 꽃인 “꽃범의 꼬리”를 2만 본이나 식재하여 오가는 관광객들에게 신비로움을 더해주고 있다며 반기는 소식이었다.
이제 자기나라 야생화의 진가를 알아주고 좋아하게 되어 곳곳에 심어가고 있음에 반가워서 좋아라 쓴 기사였을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애석하게도 헛다리를 짚은 한 예라는 점을 모르고 있는 것 같다. ‘꽃범의 꼬리’는 학명이 ‘피소스테기아 버지니아나’라 부르며 원산지가 캐나다이고 우리나라에는 30~40년 전에 들어와 원예종으로 조금씩 심겨지고 있던 외래종이다. 꽃이사 청순하고 화사하여 칙칙한 도로변을 밝게 꾸미는데 쓸만한 것이다. 메리골드나 원추천인국 같은 혐오스러운 색상의 외래종보다야 한 수위의 화초임에는 이의가 없다. 하지만 딴 곳도 아닌, 민족의 자존심이 서려있는 도산서원 가는 길을 하필이면 외제 꽃으로 가꾸어 놓다니, 망신스럽기에 하는 소리다.
이 식물이 마치 우리 것 인양 퍼져 나가게된 동기부터가 다소 불순했던 기억이다. 한 원예업자가 이 걸 좋아라 대량생산을 했었다. 그런데 그는 우리 꽃 보급운동의 새 물결을 타고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매점매석을 일삼던 상업적 능력이 특출한 원예가였다. 수년간 한국식물원협회며 자생식물협회가 머리를 싸매고 호주머니를 털어서 우리 땅에 우리 꽃을 피우기 위한 투쟁적 활동을 펼쳐 온 것이 마침내 결실을 맺어 외래 원예종의 자리를 밀어내며 정착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옳다구나 수익에만 눈이 멀어 “우리 꽃 심기”붐에 동승하여 슬그머니 우리 것 인양 밀어 넣어 돈이나 챙기는 과정에서 이 서양 원예종 식물이 우리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꽃잔디며 수호초며 부용이며 해바라기 같은 것들이 다들 그러한 부류들이다.
“우리 꽃 이 땅에 만발할 때 비로써 배달민족은 황금의 시대를 맞게될 것이다”라고 붓이 닳도록 외쳐온 우리들 면전에서 이런 부류의 황금에 눈먼 자들의 기만행각은 좀체 멎을 줄 모른다. 외래 꽃을 일체 배제하자는 얘기는 결코 아니다. 제 나라 것부터 우선적으로 챙기자는 것이다. 제것은 제쳐 두고 남의 것만 크게 보는 사대주의적 버릇이 이 나라를 36년간 나라 없는 삶까지 겪게 하지 않았더냐?
꽃이란 꽃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 미색과 오묘한 자태며 풍기는 냄새랑 지니는 품성이 그네들을 즐겨 대하는 인간들의 가슴속에서 천변만화의 조화를 일으키며 각인되는 것이다. 들국화 한 송이 가까이 대하고 향기를 맡으며 흠뻑 심취하고 있는 순간 그 인간 두뇌 속은 온통 그 국화의 품성을 그대로 닮아 있게 마련이다. 장미를 보면 장미 같은 가슴이 되고 팬지를 보면 그렇게 밋밋하고 향기 없는 척박한 가슴이 되는 것이다. 이 세상에서 짧기는 하나 가장 강력하게 인간의 심성에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 바로 꽃인가 싶다. 그러기에 그간 외래 꽃으로 도배하듯 했던 환경 속에서 민족주체성 회복을 외친 것은 허구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식물은 지구의 옷이요, 꽃은 옷에 달린 단추며 무늬며 액세서리인 것이다. 어떤 질감으로 어떤 디자인의 옷을 입느냐에 따라서 그 인격체는 은근히 변하게 마련이다.
이제 이 땅에 우리 꽃이 넘치도록 심겨지고 있어서 고맙다. 헌데 이 틈새에 저질상혼이 스며들어서 여린 촌민들 앞에 우리 것 인양 외래 꽃을 심어대는 기만적 행위가 어린 후손들에게 미칠 영향은 또 어떠할지 걱정이다. 그간 이 나라의 식물계를 바로 잡아 보겠다며 물적 심적 투자를 쾌척하여 이제 겨우 세워 가는 공든 탑에다 흙탕물을 끼얹는 한심한 일들을 볼 때마다 가슴 저미게 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