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는 장마철을 맞아 수해방지 대책 마련에 행정력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러다 보니 가뭄극복을 위해 벌인 용수개발에 필요한 관정 작업현장들이 제대로 마무리도 못한 채 방치되어 있어 더 큰 재해나 오염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불안이 제기되고 있다.
가뭄 때 마다 농민들은 양수기로 하천에 물을 끌어올리는 고된 작업보다는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암반 관정을 선호하게 된다. 80m이상 파내려가 지하수를 퍼 올리는 대형 암반관정의 경우 국고에서 지원해주고, 비용이 적게드는 중·소관정은 자치단체와 개인이 부담하게 되어 있다.
전국의 관정은 모두 90여만개. 이 가운데 농업용 대형 관정은 2만3천개, 중소형은 36만개 이른다고 한다. 올해도 90년만에 가뭄이라 해서 지자체가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하여 관정 개발에 나섰다.
그런데 우리 행정은‘땜질식 행정’에 익숙한 관계로 관정개발에 따른 뒷마무리가 항상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올해도 예외일 수가 없으리라 생각하는 것은 가뭄 끝에 바로 장마철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군은 장마철 재해대책 수립도 중요하지만 관정의 뒷마무리 작업에도 행정력을 가동시켜야 할 것이다. 대체로 대형관정의 후속관리는 지하수 개발업체가 하게 돼 있다. 하지만 그것은 형식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관계 공무원들의 철저한 감시·감독 미흡 탓도 있지만, 건설업체들의 하청·재하청으로 이어지는 계약관행에 따른 책임부재가 더 큰 이유다.
어쨌든 자치체는 부실하게 관리된 채 방치되고 있는 폐공을 찾아 각종 오염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사후관리를 서둘러 철저히 해야할 시점이다. 관정 관리가 잘못되면 ‘오염물질이 들어갈 수 있는 하수구’로 전락하거나, 과도한 암반 관정 개발은 장기적으로는 지하수 고갈을 불러 지반 붕괴사고까지 일으키는 재앙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우리 자치행정이 관정분야에서도 사후관리가 익숙하지 못하다는 평가를 또 다시 받지 말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