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교육청이 2001년도 추경예산액 800억원을 편성하여 도의회에 넘겼다. 학교 신설을 위한 부지 매입비나 증·개축에 가장 많은 예산 492억여원을 반영했다. 그 다음으로 컴퓨터 및 프린트 보급과 멀티미디어 설치, 운영 등 교육정보화 사업에 122억원을 요구했다. 학교 신설, 증·개축비를 제외한 단일 항목으로는 가장 많은 액수이다.
21세기가 디지털시대인 만큼 학교도 그에 걸맞는 정보인프라 구축을 위해 교육청이 거액의 예산을 편성한 것은 당연하다. 일부에서는 온 라인 정보화 교육이 ‘21세기 교육의 요체’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정보화 사업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 예산 반영에 신중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미 일각에서는 거액의 자금이 헛된 공상과 형편 없는 기술을 도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 주장은 교육 정보화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 미국에서도 같다.
교육정보화 사업은 중요한 교과과정의 일부를 밀어내고 있다. 컴퓨터는 음악실, 도서관, 미술실, 스트디오를 줄여 만들어지고 있는 까닭이다. 한때 ‘TV 프로그램 교육’이 교육의 일대 혁신이라도 되는 것같았으나 실제 그렇지 못했다는 사실도 감안해야 한다.
교육정보화 사업이 기대 만큼의 효과를 거두려면 하드웨어 못지 않게 다양한 프로그램도 동시에 충족돼야 한다. 학교가 기계 및 장비 등의 하드웨어를 설치했지만 소프웨어가 없어 실효를 거두지 못한 때가 있었고 또한 새로운 프로그램이 개발되자 그것을 받쳐줄 컴퓨터 용량이 부족하여 투자비만 낭비하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것이 디지털기술이다. 그에 대한 투자가 잇따라야 교육효과를 거둘 수 있는 법이다. 교육청은 시설투자만 일부 지원할 뿐 유지비는 학교의 몫이다. 지금 학교는 시설현대화에 따른 운영비 부담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니 학부모 주머니를 터는 학교발전기금도 따라 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북교육청은 교육정보화 사업의 ‘그림자’를 최소화하는 원칙에서 예산을 집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