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위기’가 눈앞에 닥쳤다. 국제화시대에는 모든 것이 개방된다. 이미 세계화란 이름으로 ‘문화의 共有’가 이뤄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세계화란 서구화를 의미하며, 서구식으로 모든 것을 바꾸려한다. 국가 민족의 고유성과 문화의 다양성도 사라진다”며 세계화를 반대하는 논리도 있다.
그러나 세상은 개방의 속도를 늦추지 않고, 힘 있는 국가의 문화를 본받는 것이 發展이며 선진국화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고립되지 않으려면 싫어도 개방과 문화의 공유로 나아가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대학들도 이러한 흐름속에 있다. 이른바 ‘대학의 개방’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조기유학이 붐을 이루는 것도 같은 맥락이고, 다투어 선진국 유학을 떠나는 것도 마찬가지다. 대학이 이제는 ‘국내적 경쟁’ 단계에서 ‘국제적 경쟁단계’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에서 아무리 우수한 성적을 올려 일류대학을 나와봐야 국제적으로 별 쓸모가 없을 것”이라는 생각은 대학의 개방을 더 촉진하는 도화선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유학을 부추기고, 외국 유명대학의 국내 진입을 유도한다.
이러한 학문과 기술의 개방속에서 우리나라 모든 대학은 그 존립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세칭 일류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 대학도 거의 ‘國內用’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방대학의 위기는 실로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기’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전부터 지방대학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두고 많은 고뇌를 해왔고, 대책을 세워 정부에 끈질기게 건의를 해왔다. 지방대학 총학장과 관계자 300여명이 모여 청문회를 개최, 윤덕홍 대구대 총장은 “지방대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주제발표를 하기도 했다.
경북대 박찬석총장은 오래전부터 인재할당제를 건의해왔고, 대구대 총장은 `‘지방대 육성 특별법’의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국회가 지방대의 위기를 제대로 인식해야 하고 국토의 균형발전에 대한 정부와 국회의 의지가 견고해야 한다. 지방대학들로 하여금 국제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게 하는 일보다 화급한 일도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