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농촌지역의 초등교사들이 도시학교로 진출하기위해 줄줄이 사직해 농촌학교수업이 파탄에 이르고 있다. 교육계의 혼란은 교사와 학교, 교원단체와 당국간의 갈등에 그치지 않고 학생들에게 악영향을 미치니 문제는 심각하다.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개혁의 부작용을 막을 비상대책이 시급하다.
전국 16개 시도교육청이 이달 1일부터 사직하는 초등교사에 대해 종전 1년간 타시도 교사임용에 응시할 수 없는 규정을 2년으로 늘이게 되자 사직시한인 지난 31일까지 사표를 내는 교사가 경북도내에서만 1백명을 넘고 있다. 이들중 30세미만의 젊은 교사가 절반을 넘고 있어 젊은층의 농촌학교기피현상이 두드러졌다. 이같은 무더기사직으로 인해 교육환경이 열악한 농어촌학교의 수업결손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교사 정년단축이후 임시방편으로 등장한 기간제교사들의 운용이 현장에서는 교육자 사명감 결여등의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자리마저 채우기 힘들게 됐다.
대구시도 학교에 따라 10%정도의 기간제교사가 수업을 담당해 정규교사들의 업무부담이 커지고 있다.
기간제교사를 늘리면서 각종잡무는 정규교사가 맡기때문에 수업보다는 잡무처리에 대한 중압감이 늘었다는 지적이다. 최근 전국교사대회참석을 위해 기본적인 임무인 수업까지 팽개치는 처사로 사회가 교직을 보는 시각이 비판적으로 변한 시점에서 이같은 사태가 벌어져 더욱 실망스럽다.
모초등학교에선 8명의 교사들이 한꺼번에 사표를 내 정상수업이 어렵다니 안타까울뿐이다. 교원정년단축과 교육여건개선사업등이 일선교육현장에선 심각한 부작용을 불렀다. 교육자의 신념과 사명감을 잃어가는 교육현장에는 참스승보다는 생활인으로 살겠다는 풍조가 만연되고 있다. 경북도의 경우 내년도에 400명의 교사를 공개모집할 계획이지만 현재의 상태로는 수급이 제대로 이뤄질지가 의문스럽다.
갈수록 열악해지는 농어촌의 초등교육에 대한 교사수급 비상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초등교육은 백년대계의 기반이니 더욱 긴급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