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의 대기업 본사 역내유치대책이 수년째 겉돈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기업유치전담팀까지 구성해 역내 산업단지로 공장과 본사유치에 나섰지만 여건마련이 안된 탓인지 대상업체들은 외면하고 있다. 법인세와 지방세의 감면과 금융지원 등의 메리트제공을 약속했지만 성과가 부진하다.
지역에 공장을 둔 주요대기업은 포항에 9개업체, 구미 20개와 경주·경산·김천등에 산재해 있지만 본사이전에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포항지역은 일부 중소기업의 유치에 성공했으나 거의가 계열분리에 의한 본사이전으로 지역경제활성화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대구도 유치실적은 저조하며 기존일부기업도 매출 외형이 커지면 수도권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구에 유치한 대기업의 공장마저 IMF이후 본사의 구조조정등으로 가동이 중단되는 등으로 지역경제의 취약성은 더 심해졌다. 수도권은 면적이 11.8%인데 비해 인구는 46.3%인 2135만명이 모여살고 정부기관등은 85%, 제조업체 53% 서비스업체 44%나 집중돼 있으며 경제력은 60%나 집중돼 있다. 100대기업의 95%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지방은 정보접근성과 시장접근성에서 경쟁력이 없기때문에 기업의 지방유치는 공염불이다.
포항은 의회와 상의가 위원회까지 구성했지만 현재의 인센티브로는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다고 한다. 이는 지역경제의 절대규모가 작기때문에 생산기반이 취약할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있다.
경제규모가 작으므로 SOC등 필요한 기반투자가 어려우며 물류비용 등이 높아져 이전을 외면할수 밖에 없다. 생산기반이 취약하니 인구가 유출되고 수요기반마저 위축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더구나 교육·생활·문화의 인프라도 부족해 사정은 갈수록 어렵게 되고 있다.
지역경제의 어려움은 선도적인 대기업이 없기때문보다는 지역의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의 하청관계라는 지위를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다. 지역경제의 활성화는 중앙정부의 과감한 지원정책이 없이는 불가능해졌다. 경제의 균형발전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