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부터 공무원의 주 5일근무제가 시행된다. IMF를 다 벗어나지 못한 경제상황에서 “우리가 과연 주5일만 일해도 될만한 여건이 돼 있는가”란 회의론도 있었으나 그것도 ‘세계화의 물결’에 보조를 맞추는 일이라 해서 정부는 ‘공직사회에 한해서’ 이를 강행할 모양이다.
7월부터 공무원들은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휴무를 하게 되는데, 구조조정으로 일손이 부족한 상황에서 얼마나 현실성을 가질지 의문이다. 주 이틀을 놀게됐다 해서 공무원들이 다 반기지는 않는 모양이다. 휴일이 많아지면 ‘레저시간’이 늘고, ‘레저비용’이 더 지출되게 된다.
레저산업들은 벌써부터 레저인구 증가에 대비해서 ‘돈 긁어모을 준비’를 하고 있다는데, “쉬는 것은 좋으나 비용이 더 들 것이 걱정이다”란 소리가 나온다. 여행에는 숙식비뿐 아니라 자동차 연료비 또한 더 지출되기 때문이다.
정규직 공무원들에게도 주5일근무제가 전적으로 반갑지만은 않지만, 더 걱정스러운 사람들은 관청에서 일하는 일용직 직원들이다. 일당을 받아 살아가는 이들은 일 하는 날짜를 하루 잃게 된다.
이들은 일당 2만5천원에 상여금, 시간외 수당 등을 합해 월 90여만원정도를 받고 있다. 5일근무제가 되면 월 4일가량의 임금10만원정도가 삭감된다. 담배값 등 공공요금이 오르고 소주값 등 일반소비자 물가가 슬금슬금 올라가는 중에 임금은 깎이니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대구시청과 일선 구·군청에 근무하는 일용직 근로자는 1천 771명이고, 경북도내에는 3천 720명이 일하고 있다. 결코 적은 수자가 아니다. 이들 일용직들의 애환은 이번뿐만 아니다. ‘공직사회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 제일 먼저 바람을 타는 ‘파리목숨’이 바로 이들이다.
구조조정강풍에 간신히 살아남았는데 이번에는 또 ‘임금 삭감’바람이 불어온다. 이들이 하는 일이 청소, 경비 등 수다한 雜務이기는 하지만 그들도 세파를 헤쳐가야 하는 生活人이고 가족을 부양해야 할 의무를 가진 가장들이다.
설상가상의 애환을 겪고 있는 이들 서민들이 불안하지 않게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IMF이후 부익부빈익빈현상이 더 두드러지고 있는데 이것은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계층간의 위화감은 국민대통합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일용직 근로자들은 ‘대표적 서민계층’이다. 이들이 평온하게 살아갈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주5일제를 한다해도 이들에게는 일하게 한다든가, 호봉제를 도입하고 일당을 인상해 피해가 없도록 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