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등록금을 둘러싼 말썽이 되풀이 된다. 大學들이 ‘돈분쟁’을 연중행사처럼 벌이는 모습이 안쓰럽다. 기업들이 勞使 갈등을 빚는 것처럼 학문의 전당이 그런 양상을 보이니 심히 민망하다.
대학들이 해마다 어김 없이 등록금을 올리고 있는데, 올려야 할 필연적인 이유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대학은 별로 없다는 점이 문제다. 대학당국이 결정한 일에 학생들은 무조건 복종하라는 식의 태도도 마땅치 않다. “대학에 왜 민주주의가 없는가” “학생의 선택권은 왜 이리 미약한가”라고 외치는 소리가 높지만, 대부분의 대학들은 여전히 中世 유럽의 대학들처럼 권위주의적이라는 것이 학생들의 불만이고, “학생들의 머리가 아직도 돈뭉테기 처럼 보이기만 하는가” 라고 묻는다.
대구권 대학들 대부분이 지금 ‘등록금 內訌’에 휘말려 있다. 경북대 총학생회 및 단대 간부 10명이 단식투쟁에 들어갔고 18일부터는 70여명의 학과회장들이 합류했다. 학교측이 조만간 만족스러운 답변을 주지 않으면 본관을 점거해서 학사행정을 마비시키겠다고 한다.
영남대는 9%의 등록금 인상이 통보되자 학생들은 부당하다며 등록금을 화폐 대신 현물 혹은 동전으로 납부할 계획까지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농민들이 부채상환을 농산물이나 농기계 등 현물로 대신하는 투쟁을 벌였던 일이 연상되고, 10원짜리 혹은 100원짜리 동전을 몇자루씩 매고 와 등록금으로 내려한다면, 한 학기 다 가도록 개강이 되지 않을 터이다.
대구대 학생들은 6개의 요구사항을 제시했는데, 그 중에는 교수와 직원들의 연봉을 공개하라는 조항도 있다. 등록금 인상 목적이 교수·직원들의 봉급인상에 있는게 아닌가 해서다. 이것은 대학 재정을 전적으로 학생들의 주머니에 의존하는 대부분 대학들의 공통된 行態이다.
학생들은 대학의 문제를 대학당국과 학생들이 함께 논의하고, 대학재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회의체를 구성하자는 제안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학생을 ‘만만한 봉’으로 생각하는 한 대학발전은 기대할 수 없고 해마다 등록금 시비는 그치지 않는다.
대학총장들이 ‘학자출신’ 일색이란 것도 문제다. 미국에서는 경제인이나 행정가 출신이 주로 대학총장을 맡는데, 그 총장들이 주로 하는 일은 同門 등을 찾아다니며 ‘대학발전기금’을 모금하는 일이다. ‘학자출신 총장’은 그런 일에 서툴기 때문에 항상 ‘학생주머니’만 노리게 된다. 대학재정의 건전화와 대학행정의 난맥상을 해결할 근본대책을 이제 마련해야 할 때가 왔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