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다가오면서 농민들의 걱정은 태산이다. 올 지방선거가 농민들로서는‘일손과 공’을 가장 많이 들여야 하는 6월초에 치러지기 때문이다. 선거를 앞두고 벌써부터 선거부작용은 나타나고 있다.
출마를 결심한 사람들은 상당 기간동안 공을 들여 득표에 필요한 조직을 가동시켜 왔다. 조직의 크기가 곧 득표력이기 때문에 선거에 있어서 조직의 비중은 당락을 결정지을만큼 크다.
각 정당이나 후보들은 조직 확충에 최우선순위를 두고 심혈을 쏟는다. 지역거주자면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조직화시키려 한다. 게다가 암암리에 손에 쥐어지는 하루 日當 등 선거운동댓가가 이들을 유혹한다.
무엇보다 우리는‘생계 따로 선거운동 따로’의 선거문화가 정착돼 있지 않다. 자원봉사제도나 그 개념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까닭에 거의‘생계형 선거운동’이고 이것이‘선거봉사료의 암거래’를 부추긴다.
자원봉사요원수와 식비 교통비 등 선거운동자원봉사수당을 급여를 법으로 규정하고는 있지만 운동원數나 手當이 현실적이지 못하다보니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봉사수당에 대한‘法外의 협정요금’도 당연히 없다. 따라서 조직원들이 챙기는 수입도 후보 만나기 나름이다. 속칭‘日當의 두께’가 천차만별이다. 돈많은 후보 넉넉한 정당을 만나면 소위‘크게 한탕’할 수도 있는 게 우리 선거판의 현실이다.
술·밥 잘 얻어먹고 돈 많이 받는 데 굳이 힘든 농사일에 기웃거릴 사람은 없을 것이고, 자연스레 일손이 귀한 농촌이나 중소도시의 유휴인력들이 선거조직에 몰리게 된다. 이같은 악순환이 비단 오늘만의 현상은 아니겠지만 한시바삐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인력난에 허덕이는 중소기업은 물론이고 가뜩이나 위축된 농업의 생존마저 위협할지도 모른다.
특히 농촌의 형편은 심각하다. 농촌이 노령화되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그나마 남아있는 可用인력마저 선거에 빼앗긴다면 잔손질이 많이 가는 농사를 망칠 게 틀림없다.
지금이라도 각 정당이나 후보들의 선거진영에서는 선거득표를 위해 표밭을 갈고 다지는 마음으로 이미 사조직화했을 농촌유휴인력들을 농촌일손돕기에 전환시켜야 한다. 어차피 선거조직은 농어촌의 경우 면단위로 움직인다. 모두 이번 선거에서는 각 지역 조직을 해당 지역 농어촌을 위해 썼으면 한다. 농민도 돕고 농업도 살리고 득표도 하는 정당이나 후보가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