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농업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개방체제하에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 하더라도 최대한 농업경쟁력을 길러가야 하는 것 또한 필연적인 과업이다.
그러나 근래에 들면서 농업경쟁력 하락을 부채질하는 현상들이 나타나면서 농업을 포기하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의 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국과의 마늘파동이 한차례 지나가면서 칠레의 농산물을 사들이는 문제 때문에 또 한차례 홍역을 치르고 있다. 외국의 농산물이 값싸다 해서 마구 들여오다가는 결국 ‘농업예속국’으로 떨어지고 ‘식량안보’에서 무장해제를 당하게 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국제간의 문제뿐 아니고, 국내적으로도 농업경쟁력을 떨어트리는 현상들이 보여지고 있어 더욱 걱정스럽다. 70%가량이 농업인 경북도의 산업구조로 볼때 합리적인 농업정책은 너무나 시급하고 긴요한 것이며, 경북경제의 사활이 여기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98년부터 시행된 구조조정에서 농업기술직이 대거 퇴출된 것은 매우 불합리한 일이다. 예컨데, 영양군농업기술센터의 경우 당초 36명이 정원이던 농업기술사가 구조조정후 21명으로 감축됐으며, 5개면에 배치돼 있던 상담소가 폐지됐다.
또 95년에 수천만원을 들여 각종 축산장비를 구입했으나 현재 연구인력이 없어 그 비싼 기자재들을 방치해두고 있다고 한다. 농민지도에도 헛점이 많고, 연구개발에도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고령자 뿐인 농촌에서는 농업지도인력이 절대 필수이며, 농업경쟁력을 높이려면 연구인력이 충분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런데 지금의 상황은 오히려 뒷걸음질 치고 있으니 우리나라 농업은 국내외적으로 압박해오는 위기에 당면하고 있는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축산발전에 큰 역할을 하는 수의사들도 곤경에 처해 있다고 한다. 처치과정에서 가축의 발에 차여 부상을 입고 입원하는 수의사들이 많은데, 이들은 보수도 적고 다치면 병원을 쉬어야 하는 불이익을 당한다. 따라서 개나 고양이같은 애완동물 치료를 선호하고 있으니 축산발전을 위해 걱정스러운 현상이다.
우량혈통의 한우종자를 확보하기 위해 DNA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채혈을 할 때 소 뒷발에 밟히거나 차여 부상당하는 수의사들이 많다고 한다. 검사비도 적고 다쳐도 개인책임이 되니 기피업무임은 물론이다.
농업기술직을 늘리는 일이 시급하고, 위험한 일을 하는 수의사들에 대한 보상금 지급방안도 논의돼야 한다. 경북의 농축산업이 제대로 명맥을 이어가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