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기획- 시민 대다수 "대피소가 있었나요?"

▲ 평상시엔 교통시설로 이용하는 지하철이지만 위급한 상황땐 대피소로 활용된다. 24일 오후 대구지하철 2호선 범어역에서 승객들이 '대피소' 표지판이 붙어 있는 개찰구를 나서고 있다. 유홍근기자 hgyu@kyongbuk.com
남북간 군사적 긴장감이 높아지면서 비상대피시설에 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구지역 비상대피시설은 총 1천467개소이며 서구가 311개소로 가장 많다.

이어 달서구 256개소, 남구 232개소, 북구 213개소이며 달선군이 31개로 가장 적다.

대구의 경우 국가지정 대피소는 1곳도 없으며 대부분 공공 지정시설 중 대피시설로 지정했다.

경북은 총 1천126개소의 대피시설이 있으며 국가지정 대피소는 김천 4개소, 포항·구미·영주·상주 각각 1개소 등 총 8개소가 운영중이다.

또한 포항이 221개소가 지정돼 가장 많으며 구미 214개소, 안동 107개소, 경주 59개소, 김천 54개소다.

이처럼 대구·경북지역에 2천500여개의 대피소가 지정돼 있지만 정작 시민들은 대피소가 어디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민방위 훈련 등을 통해 실제 대피 훈련을 시행하더라도 참여도가 낮아 실제로 대피가 이뤄지지 않아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다.

그렇다고 강제로 대피를 시킬 수 있는 방법도 없어 대피시설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대피시설이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 일반 공공시설이 지정된 것도 이 같은 무관심을 부채질하고 있다.

단순 지하주차장 등 지하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이 대피시설이다보니 아무런 긴장감이 없어 비상대피시설 표지가 붙어 있어도 대피시설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국가지정 대피시설이 대구·경북지역에 거의 없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국가지정 대피소가 적은 것은 서해 5도나 최전방과 같은 접경지역과 달리 대구·경북지역 대피시설은 적의 미사일이나 공습에 대비하는 잠시 머무르는 곳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예산이 제한돼 있어 국비와 시·도비로 운영되는 국가지정 대피소를 운영할만한 여유가 없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 밖에도 대피시설 지정에 한계가 있는 것도 대피시설을 활성화시키고 알리는데 어려움을 겪는 원인으로 꼽힌다.

민간시설을 대피소로 지정할 경우 대피소 관리 등의 이유로 사유재산이 제한될 우려가 있어 건물주 등이 꺼려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대피시설을 주기적으로 점검, 시설이 미흡하다고 판단될 경우 다른 곳으로 변경시켜야 해 시민들이 혼란을 겪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시 관계자는 "아무래도 후방지역이다보니 관심이 떨어져 대피훈련 등에 참여를 이끌어 내기 힘들다"며 "통신문, 동·반장 등을 통해 대피시설을 안내하고 있지만 시민들의 자발적인 관심에 기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집이나 직장 주변의 대피소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시·구·군청, 국가재난정보센터 홈페이지에 관할 지역 대피소 주소와 지도로 쉽게 찾을 수 있다.

스마트폰을 활용할 경우 안전디딤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확인할 수 있다.
김현목 기자
김현목 기자 hmkim@kyongbuk.com

대구 구·군청, 교육청, 스포츠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