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경미 사회부 기자
지난 2014년 일어난 세월호 사고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드러나면서 수상 위기 상황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생존 수영에 대한 필요성도 커졌다.

주요 선진국은 우리보다 훨씬 빨리 수영교육에 관심을 두고 진행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1955년 수학여행을 가던 초·중학생 100명을 포함해 모두 168명이 숨진 시운마루호 사고로 모든 초교에 수영수업을 의무화시켰다.

세월호 사고 후 교육부도 사고 예방 대책의 하나로 수상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초등생 수업과정에 수영 실기 교육을 포함할 뿐 아니라 수영장 등 기반시설 계획을 수립했다.

계획에 따르면 오는 2018년까지 초등 3~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물에 대한 적응력 향상과 비상시 생명보호를 위해 매년 10차시의 수영 실기 교육을 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현실은 수영 교육에 필요한 수영장이 없거나 있더라도 학생 수보다 턱없이 부족하다.

수영장이 있더라도 교육용 전용 수영장이 아니어서 일반인과 함께 사용하다 보니 이용 절정기인 7·8월을 피해야 하는 등 사용에 제약도 많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부는 초교에 수영장이 없거나 수영장 대비 학생 수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2018년까지 전국 모두 18개의 수영장을 겸한 복합체육관 건립 계획을 세우고 올해 우선 6개 지역에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교육부는 현실과 전혀 맞지 않은 주먹구구식 사업비 책정과 사업비 절반 이상을 지방자치단체 등에 부담토록 해 재정이 탄탄한 지역에만 몰려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일각에서는 '아직 출발 선상에 올랐을 뿐 시작도 하지 않은 교육 정책에 대해 너무 이른 판단으로 앞서가는 것 아니냐'는 등 부정적인 목소리도 있다.

정말 기우에 불과할지 모른다.

분명한 것은 국민 모두 슬픔에 빠지게 했던 세월호 사고를 계기로 마련된 정책인 만큼, 빠르면 3월 시행하는 수영 교육이 제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반 시설 마련을 위한 교육부의 적극적인 투자 등 변화된 모습이 절실하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