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산자원관리公 "25㏊ 중 9.715㏊ 차지"…피해 심각 관계 기관 대책마련 무관심…실질적 복원사업 추진 시급

▲ 독도 남쪽 지역 수중. 암반 등에 해조류 하나없이 성게가 장악하고 있다. 마치 사막을 보는 듯하다. 수중촬영=조준호 기자
매년 5월 10일은 바다식목의 날이다. 정부는 갈수록 사막화(일명 갯녹음 현상) 현상 등으로 황폐화 돼가는 해양환경을 보호키 위해 2012년 세계 최초로 지정한 기념일이다. 하지만 국내 최대 청정지역, 한국의 갈라파고스, 해양의 DMZ로 잘 알려진 독도가 이런 갯녹음 현상이 타 지역보다 높게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해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이하 수자단)에서 조사한 동해안지역 갯녹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울릉군 도동1리 독도지역에 갯녹음 현상이 38%로 조사됐다. 암반 25㏊ 중 9.715㏊가 갯녹음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도 평균 갯녹음 면적 22% 비해 독도가 더 심각한 상태다. 또, 동해안 고성군에서부터 울산까지 전체 갯녹음 평균 35.6% 보다 웃도는 수치다. 특히 이같은 현상은 수년전부터 여객선이 입출항 하는 동, 서도 남쪽방향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 성게무리가 해조류를 포위하고 잎과 암반을 지탱하는 줄기를 갉아먹고 있다.
해조류가 부착돼야 할 암반 등에 성게나 불가사리가 자릴잡아, 갯녹음 면적이 확산되고 있다. 이를 해결키 위해 영세한 지자체인 울릉군과 민간에서 노력 중이지만 역부족이다.

울릉도·독도해양과학기지에 따르면 "독도에서 과업수행 중 성게와 불가사리 등 해적생물의 포화도가 일부지역에서 엄청나게 높게 관찰됐다"며 "올해 독도 수중환경 보호를 위해 울릉군청과 민간이 함께 구제작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런 현상이 불과 1, 2년만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수년간 꾸준히 진행, 확대되고 있지만 국내 갯녹음 현상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수자단이나 해양 기관 등의 무관심도 한몫하고 있다.

지난해 수자단에서 갯녹음 현황을 조사 후 현재까지 뚜렷한 대책이 없다. 또, 이 기관에서 독도환경보전을 위해 시행한 사업은 수년전 수십명을 초청해 단발성 홍보 사업을 벌인 것이 고작이다.

수자단은 울릉도 및 독도 해양환경 보호를 위해 울릉군과 MOU를 체결한 기관이다.

▲ 성게무리가 대황줄기를 타고 올라 잎부터 소실시키고 있다.
한 해양기관의 관계자는 "독도는 뭍과 격리돼 외부 오염원 등의 유입이 적어 천혜의 해양생태지역으로 알려진 지역이다. 그런 독도에서 갯녹음 현상이 확산되면 이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자금를 투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과 초기에 대응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합리적 대안으로 각 기관 및 지자체의 행사성, 홍보성 방문 등을 자제하고 그에 사용되는 경비로 실질적인 사업을 진행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또 익명을 요구한 한 기관의 관계자는 "수자단 등에서 연안바다목장화사업과 지역 내 갯녹음이 심각한 지역을 치유도 하지만 지금까지 잘 가꿔진 해양 숲도 관리해야 하는 것이 진정한 바다식목의 날의 의미가 아닌가"라고 반문하며 "해양 숲이 사라지고 난 후 호들갑 떨며 치유한다고 하지 말고 초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