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진 현내항 앞바다에 투하된 십자형 인공어초에 부착된 종사줄이 뒤엉키면서 해조류가 고사했다. 수중촬영=김형소기자
정부가 해양생태계 복원을 명분으로 시행중인 '인공어초' 사업이 계획성 및 사후관리 부실로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바다를 끼고 있는 일부 지자체들은 효과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독자적인 연구조사를 추진하는 등 대대적인 사업 방향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바다 생태계 살린다던 인공어초 효과 의문

인공어초는 도입 초기 불법 어로 행위를 막자는 취지로 1970년대 초부터 시작됐다.

이후 해마다 감소하는 물고기를 불러 모으고 바다 숲을 되살리겠다는 목적으로 발전해 이른바 '특허 인공어초'가 쏟아져 나오면서 우리나라 해안 전역을 점령했다.

지금까지 바다에 투하된 인공어초 예산만 1조원 넘게 투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일반인들은 인공어초만 있으면 수풀이 우거지고 해삼과 전복 그리고 물고기가 떼가 유형하는 모습을 상상한다.

하지만 바다속 현실은 '물반 고기 반'의 환상적인 모습과는 거리감이 있다.

마치 바다속 쓰레기 더미처럼 보이는 인공어초들은 해양 생태계 복원은 커녕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콘크리트가 주재료인 인공어초가 자체 독성으로 인해 해조류의 부착률이 저조하고 부식으로 인한 환경오염도 우려된다는 것.

실제 무분별하게 인공어초가 놓여진 바다속 주변에는 원인이 불분명한 갯녹음 백화현상으로 어패류만 간혹 보이며, 바다 사막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인공어초에 대한 의문이 지속되자 최근 울진군은 올해 인공어초 투하계획을 미루고 효과와 개수 파악 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울진군 관계자는 "수십년간 진행된 인공어초 투하 사업이 실제로 바다 생태계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정확한 인공어초 개수 파악과 함께 앞으로의 사업방향을 잡는데 참고로 활용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십자형 인공어초에 이식된 해조류가 남아 있지 않아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울진 현내항 수중 촬영 사진 '충격'

최근 한 스쿠버다이버가 울진 현내항 앞바다의 물속 생태계를 사진으로 담은 장면을 살펴보면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바다 바닥면 여기저기에 십자형 인공어초가 널부러져 있고, 해조류 이식을 위해 연결된 종사줄은 이미 실타래 엉키듯 꼬여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이곳에 투하된 특허(?) 인공어초는 연안 불법 어업 예방과 더불어 해조류 이식이 가능한 복합형 어초다.

그러나 해조류 이식의 경우 수심이 깊고 햇빛 투과량이 낮아 애초부터 생존 가능성은 희박하다.

또한 불법 어로 행위 예방에 앞서 해양 생태 환경 개선에 오히려 '독'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현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특정 업체가 제작한 인공어초를 막무가내로 투입하다 보니 '눈가리기 식' 시공이 반복되고 있다.

한 인공어초 제작업체 관계자는 "어초는 사업계획 초기 적절 장소에 적합한 어초를 선정하는 적지조사를 합리적으로 분석해야만 실패를 줄일 수 있다"면서 "이와함께 부실시공 예방 및 사후관리 또한 성공적인 바다 숲 조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형소 기자
김형소 기자 khs@kyongbuk.com

울진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