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오도리 앞바다에 투하된 해중림초에 이식됐던 감태 포자가 발화돼 인근 바위를 해중림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해양생태계 복원을 목표로 시행중인 '바다숲 조성용 인공어초' 사업이 부실한 유지관리로 실효성을 잃고 있다.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는 일반 어초와 달리 해조류 종묘를 직접 고정·이식해 갯녹음 피해로 사라진 바다숲을 재건하는데 큰 효과를 발휘하지만 대폭적인 유지 보수가 뒷받침되지 않아 자칫 바닷속 암초로 전락할 위기에 놓였다.



△지금 동해안은 갯녹음 비상사태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가 지난 2014년 8~12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경북지역 전체 수중 암반 1만147㏊ 중 63%인 6천436㏊에 갯녹음이 발생했다.

이같은 조사 결과는 이미 연안 해안의 '바다 사막화' 현상이 매우 심각하다는 뜻과 동시에 강력한 대응책 도입이 시급함을 의미한다.

동해안 최대 청정해역으로 불리는 울릉도 또한 25% 이상 갯녹음 현상이 퍼지자 울릉군은 바다목장 사업과 인공어초 투하 등 대책마련에 고심이다.

경북도는 올해 해양 생태계 복원을 위해 바다숲 조성사업에 66억원, 바다 비료 투하에 2억원, 해적생물구제 3억원, 인공어초 설치 44억원, 연안 바다목장화 사업에 20억원 등 총 135억원 투자한다.

또한 매년 170억원 이상을 투입해 3년 안에 갯녹음 현상을 눈에 띄게 줄인다는 목표를 세우는 등 공격적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하지만 갯녹음 현상을 개선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해적생물구제와 인공 해중림초 유지 관리에 대한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제기되면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

경북도의 인공 해중림초 유지보수 예산은 한해 평균 4~5억에 이른다. 이중 해중림초 해조류 보식 비용은 보수 예산의 70~80% 수준인 3억 5천만원 수준이다.

경북 동해안에 투하된 해중림초를 어림잡아 8천여 개로 잡고 한해 평균 보수 대상 어초를 전체의 20%로 볼 경우 개당 약 50만원의 보식 비용이 소요돼 8억원 가량의 예산이 필요하다.

쉽게 말해 지금 예산의 2~3배가 더 필요한 셈이다.



△인공 해중림초 유지관리 확대 필요성 제기

인공 해중림초에 이식된 해조류는 다년생과 단년생으로 나뉜다.

다년생은 보통 3~4년 정도 생육하며, 대황을 비롯해 감태, 곰피 등이 여기에 속한다.

단년생은 우리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역과 김 등이 대표적이다. 한해살이 해조류로 불리기도 하는 미역은 동해안 마을 어장의 대표적인 수익원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해조류의 특성상 뿌리가 아닌 잎을 통해 포자를 번식하고, 생육 기간이 최대 4년을 넘기 어려워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 조건이다.

전문가들은 보식된 해조류는 초기 패사율이 높기 때문에 광합성과 수온 등을 수시로 점검하는 '생육 모니터링'을 통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갯녹음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동해안 5개 시군과 어민들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형소 기자
김형소 기자 khs@kyongbuk.com

울진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