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적 치국원리 서술…동양학에 달통

삼국유사 '왕력편' 다음에 '기이편'이 전개된다. '기이(紀異)'는 사실상 본문의 시작으로서, '왕력편'과 같이 삼국유사 권1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일연선사는 '기이편'을 기술하면서 삼국유사에 신비하고 기이한 이야기가 많은 이유를 밝히는 서언을 넣었다. 공자 이래로 신비한 이야기는 군자가 입에 담지 않는 것이었다. 그러나 제왕이 일어나 나라를 세우는 큰 사업은 천명을 받아야 하는 것이므로, 예외라는 취지다. 먼저 본문을 읽어보고 한 부분씩 논하고자 한다.

"대개 옛 성인(聖人)이 바야흐로 예악(禮樂)으로써 나라를 일으키고 인의로써 가르침을 세움에(禮樂興邦 仁義設敎), 괴력난신(怪力亂神)을 말하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제왕(帝王)이 장차 일어날 때에는 반드시 부명(符命)을 얻고 도록(圖록)을 받는 일이 있어 보통 사람과는 다르다. 그런 뒤에라야 큰 변화를 타고 대기(大器)를 잡아 대업을 이룩할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황하에서 그림이 나오고 낙수(洛水)에서 글이 나와서 이로써 성인(聖人)이 일어났던 것이다.

이렇게 하여 무지개가 신모(神母)를 두른 후, 복희(伏羲)가 탄생하고, 용(龍)이 여등(女登)에게 교접해 염제(炎帝)가 태어났다. 황아가 궁상(窮桑)의 들판에서 놀 때 신동(神童)이 자칭 백제(白帝)의 아들이라고 하며 교통해 소호(少昊)를 낳았다. 간적(簡狄)은 알[卵]을 삼키고 설(契)을 낳았고 강원(姜嫄)은 거인(巨人)의 발자취를 밟고서 기(棄)를 낳았다. 잉태한 지 14개월에 요(堯)가 태어났고, 어머니가 용(龍)과 큰 연못에서 교접해 패공(유방)이 태어났다. 이렇게 볼 때 삼국(三國)의 시조가 모두 신비스러운 데서 나온 것이 어찌 괴이할 것이 있으랴."

그런데 이 서두의 글을 잘 소화하려면 상당한 동양학의 지식이 필요하다. 워낙 핵심만 압축하였기 때문이다.

우선 "옛 성인(聖人)이 바야흐로 예악(禮樂)으로써 나라를 일으키고 인의로써 가르침을 세웠다(禮樂興邦 仁義設敎)"는 앞 문단이 품고 있는 깊은 뜻을 음미해본다. 중원지역에는 고대부터 성인이 나와 나라를 일으켰는데, 예악과 인의로 했다는 사실이다. 일연이 나열한 복희·신농·소호·설·기는 유명한 개국의 시조들이다. 설은 은나라, 기는 주나라의 시조가 된다. 이들이 공자 이전에 출현해 '예악인의의 도'로써 천하를 다스렸다는 것인데, 이 '예악인의'야말로 유교를 설명하는 핵심용어다. 요즘 말로 '키 워드(key word)'인 것이다. 춘추전국시대를 수놓은 유교사상을 한(漢)나라에서 국교로 채택했는데, 가의(賈誼)와 동중서가 한 문제와 무제에게 유교를 건의할 때, 인의예악의 도라 소개하였다. 유교에서 가르치는 인류의 도덕윤리의 핵심이 인의이고 유술(儒術)을 행하여 치국평천하할 때 사용하는 문물제도의 대표가 예악이다. 인(仁)은 만인을 사랑하는 대인의 넓은 마음씨요 의(義)는 선비가 갈 정의의 길이다. 예(禮)는 천지의 질서요 악(樂)은 천지의 조화다.

따라서 예(禮)는 남녀노소상하의 질서와 상호존경을 약속하고 악(樂)은 남녀노소상하의 조화와 상호친화를 보장한다. 이 유교적 치국원리를 물 흐르듯 서술하는 일연의 글을 보며 과연 그가 불교는 물론 유학에도 달통하셨구나 하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