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성과, 세계 저명 학술지 ‘네이처 케미스트리’ 게재

위경량 대구대 화학·응용화학과 교수
인공 광합성의 효율을 기존 방식보다 천 배 이상 높일 수 있는 연구가 발표돼 주목받고 있다.

대구대(총장 홍덕률) 화학·응용화학과의 위경량 교수(사진)는 ‘염료감응 태양에너지 변환을 위한 자기조립형 분자기반 p/n 접합 반도체 구조 개발(Self-assembled molecular p/n junctions for applications in dye-sensitized solar energy conversion)’이란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인공 광합성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산화-환원 분리(redox separation)’ 지속 시간을 기존 밀리초(milliseconds, 1,000분의 1초) 단위에서 초(Seconds) 단위로 늘리는 기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인공 광합성에서는 광 유발 산화-환원 분리 지속 시간에 따라 생산되는 연료와 산소량이 결정되는데, 지속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은 인공 광합성을 통해 얻게 되는 연료와 산소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공 광합성의 효율을 기존 방식보다 천 배 이상 높일 수 있는 연구가 발표돼 주목받고 있다.대구대 제공.
기존 연구에서는 산화금속 기반의 반도체 상에서 촉매제의 효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산화-환원 분리 지속 시간을 늘리려고 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자기조립형 분자기반 반도체를 통해 광 유발 산화-환원상태(전하분리)를 1,000배 이상 획기적으로 지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위경량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인공 광합성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원천 기술이기 때문에 물에서 수소 연료생산 상용화 등 관련 기술 개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세계 저명 학술지인 ‘네이처 케미스트리(Nature Chemistry, 인용지수(IF) 27.893)’ 2016년 6월호에 실렸다.




김윤섭 기자
김윤섭 기자 yskim@kyongbuk.com

경산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