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청, 해체 3년만에 부활
‘배신자’ 눈총 받을까 걱정
여론조사 대다수 잔류 희망

정부가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물어 해체한 해양경찰청을 이번에 부활시키기로 하면서 경찰청에 편입된 수사·정보 담당 인력들이 혼란에 빠졌다.

강제 복직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까지 흘러나오면서 이제 겨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 해경 출신 경찰들은 다시 친정으로 복귀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해경은 세월호 참사 때 구조 업무를 제대로 하지 않은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창설 61년 만인 2014년 11월 해체된 후 신설된 국민안전처에 편입됐다.

이 과정에서 기존 해경의 수사권이 축소돼 수사·정보 담당 해양경찰관 200명이 경찰로 배속됐다.

이 중 7명은 퇴직했고 현재 193명이 남았다.

이런 가운데 이달 초 해양경찰청을 부활하는 내용이 담긴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더불어민주당 당론으로 발의되면서 해경으로 강제 복직될 수 있다는 얘기가 나돌면서 향후 거취가 불투명해졌다.

해체 당시 전출 희망 인원이 몰려 제비뽑기까지 할 정도로 치열한 경쟁을 뚫은 해경 출신 경찰관들은 전원 복귀한다는 강제 복직설에 한동안 마음을 졸일 정도였다.

적응 문제는 물론 복귀 시 따가운 눈총과 인사 고과 등 각종 불이익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것.

해경 출신인 경찰관은 “해경으로 복귀하면 한동안 한직을 맡아야 한다는 소문이 파다했다”면서 “배신자라고 눈총 받을 텐데 뭘 할 수 있겠느냐”고 염려했다.

또 다른 경찰도 “해경에서 나올 때 퇴직금 명목으로 상조금까지 다 주더라”면서 “지금 돌아간들 쌓인 앙금이 풀어지겠느냐”면서 강제복직을 반대했다.

최근 경찰청은 이들에게 해경 복귀·잔류 희망 여부를 조사했고 대부분이 잔류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통과된 후에야 세부적인 계획이 나올 것으로 보여 한 동안 어수선한 분위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한편 해경은 3년 전 경찰로 넘어간 정원과 현원 수를 그대로 넘겨받길 원하지만 대상자 선정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