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부구치소 관련 코로나19 집단감염 누적 확진자가 4일 125명이 더 늘어서 1084명으로 집계됐다. 수용자(출소자 포함) 1041명, 직원 22명, 가족·지인 21명 등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13일 기준 동부구치소 수용인원은 2412명으로, 100명 가운데 43명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이다. 구치소 수용자 10명 중 4명이 감염된 최악의 상황이다.

이런 사태는 동부구치소의 문제라고 강 건너 불 보듯 해서 될 일이 아니다. 지역의 대구교도소와 대구구치소, 청송군 소재 경북북부 제2·김천소년·경주·상주·포항교도소도 철저한 방역과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지난달 28일 서울 동부구치소에 수감된 수용자 376명이 이감된 경북북부 제2교도소의 방역 안전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교정시설과 함께 최근 집단감염이 속출하고 있는 요양시설 관리에도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전국 곳곳의 요양병원에서 지난해 2~4월 코로나 1차 유행 때 지역의 한사랑·대실 등 요양병원과 청도대남병원의 집단감염과 같은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12월 한 달 동안 격리된 전국의 요양병원 14곳에서 확진자가 996명이 나왔다. 특히 노약자를 수용하는 특성으로 인해 사망자가 속출해 12월 한 달 동안에만 99명이나 목숨을 잃었다. 지난달 30일 질병관리청이 사망자 900명의 감염경로 분포를 조사한 결과 ‘의료기관·요양시설’이 409명으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다.

최근에도 경기 고양시 덕원구 요양병원과 광주 북구 요양원 등 요양시설발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다. 이렇게 되자 중대본이 취약시설인 요양병원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요양병원 종사자에 대해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더 촘촘히 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검사 주기를 2주에서 1주에 한 번씩 단축키로 한 것이다.

지난해 3월 대구 한사랑요양병원의 코호트 격리 당시 하루 만에 환자가 배로 불어나는 ‘더블링 현상’이 나타날 정도로 심각했다. 대구시는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요양병원과 시설에 확진자가 발생하면 병원 내 밀집도를 낮추는 ‘소산(消散)’ 조치를 신속하게 하고 있다. 무엇보다 교정시설이나 요양시설 등 집단 시설에 감염 사례가 발생하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경북과 대구 집단 시설의 감염 방지에 총력을 쏟아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