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3차 유행이 수그러들고 있지만 궁극의 방역은 역시 백신 접종에 있기 때문에 백신에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가 다음 달부터 백신 접종을 실시하기로 하고 절차를 밟아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도와 대구시 등 지역 자치단체도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향후 2~3주 내 코로나 백신 의약품 승인허가 절차를 완료하고 다음 달부터 접종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우려스러운 점이 한둘이 아니다. 접종 대상자 확인에서부터 안내, 접종 시설의 지정 등 일반적인 절차 외에도 갖가지 문제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자칫 코로나 방역 초기와 같은 혼선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 철저하고 면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정부의 백신 물량 확보가 전 국민이 한꺼번에 일률적으로 접종 할 수 있을 만큼 넉넉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대상 선정은 물론 접종 시기 조정 등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정부가 도입하는 백신 종류 또한 서너 가지나 돼서 백신의 유통 관리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지난해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독감백신 상온보관 문제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화이자·모더나 백신과 같은 초저온 유통이 필요한 mRNA 백신의 경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화이자 백신은 2차례 접종 간격을 21일이라고 하는데 이를 지키는 것도 중요한 고려 사안이다.

발 빠르게 백신 도입에 나선 캐나다의 경우도 화이자 백신 접종 간격을 두고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화이자 가이드라인인 21일을 지켜야 하는데 퀘벡주의 경우 90일까지 늘리겠다고 해서 논란이다. 백신 수급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경북은 도내 23개 시군에 24개소(포항 남·북구 각 1개소)에 백신접종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하지만 접종센터 수를 좀 더 지정할 필요가 있다. 포항시가 철저한 준비 없이 1가구 1명의 코로나진단검사를 실시하면서 시민이 장사진을 이뤄 큰 혼란을 겪고 있는 것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예약제 형식의 백신 접종을 한다지만 자칫 현장에 투입되는 시·군보건소 의료진의 피로 누적은 물론 시민 불편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다.

경북도는 26일 코로나19 예방접종 지역협의체를 출범했고, 대구시도 ‘대구시 코로나 19 예방접종 시행 추진단’을 발족해 지난 20일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백신 접종에 대한 철저한 준비로 혼선이 빚어지지 않게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