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선산 금동불 조사연구-표지
국립대구박물관(관장 함순섭)은 ‘國立大邱博物館 所藏品調査硏究 4; 구미 선산 금동불 조사연구’를 배포한다.

이 보고서는 국립대구박물관이 매년 한 해 동안 수행해 온 다양한 문화재 조사연구 성과를 기록하는 문화재 조사연구 보고서이다.

이번 조사연구는 국립대구박물관이 전시하고 있는 국가지정문화재인 구미 선산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82호) 1점과 금동관음보살입상(국보 제183호, 국보 제184호) 2점을 대상으로 했다.

금동불 3점은 1976년 3월 경북도 선산군 고아면(경북도 구미시 고아읍)에서 함께 발견됐다. 학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같은 해 4월에 국보로 지정됐다. 발굴 경위와 경과, 금동불의 기본 조사 결과를 보고했으며 그 이후로 여러 전시에 출품됐다. 우리나라 고대 불교 조각을 대표하는 불상이지만 최초 보고 이후로 심층적인 연구가 이뤄지지는 못했었다.

국립대구박물관은 금동불 3점에 대해 보존과학 장비를 활용해 불상의 겉과 속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 비파괴조사를 시행해 문화재의 눈으로 볼 수 없는 부분을 드러내 보여주고 재질, 제작기법 등을 검토했다.

보고서는 1부 ‘금동불의 과학적 조사’에서는 각 불상의 비파괴조사 결과를 수록했다.

3차원 정밀촬영[3D스캐닝]을 실시해 불상 구조를 실측도면으로 작성하고 정확한 구성과 계측치를 처음으로 제작했다. 육안으로 구별이 어려운 표면 관찰은 현미경 조사를 실시했다.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의 협조를 얻어 문화재 비파괴조사 방법인 전산화 단층촬영[CT]과 엑스선 형광분석[XRF]을 실시했다. 제작기법 연구에 필요한 내부 구조를 확인하고 구성 성분도 밝혔다.

그 결과 CT단면 영상에서 보이는 기포 크기와 빈도에 따라 금속의 밀도를 구별했다. 금동불의 주성분은 3점 모두 구리(Cu)-주석(Sn)-납(Pb)의 3원계 청동이며 입술은 수은(Hg)이 검출돼 진사/주로 채색한 것으로 추정했다.

2부 ‘금동불에 대한 고찰’에서는 국립박물관 불교 미술 전문가들이 고대 불교 조각사에서 이 불상들이 갖는 의의를 다뤘다. 금동여래입상은 허형욱(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금동관음보살입상 2점은 권강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와 김지호(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사)가 담당했다. 시기가 비슷한 다른 도상과 비교하고 과학적 조사 내용을 덧붙여 제작시기를 추정했다. 실측도면(1:1 비율)과 전개도(1:2 비율)를 실어 이해를 도왔다.

보고서에 수록된 금동불 3점은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빛의 과학,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2021. 3. 15.~ 6. 13.)에서 그 연구 성과를 만날 수 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