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내연산 입장료 관련 극명한 입장 차
지리산 천은사는 2019년 전격 폐지 '대조'

포항시 북구 송라면에 있는 내연산의 입장료에 대해 시민단체와 보경사 측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성인 기준 1명당 3500원(외지인 기준)의 입장료에 대해 시민단체는 ‘포항시 시유지를 통한 새로운 우회로를 만들 것을 제시’하고 있지만, 보경사는 ‘문화재 구역이기에 말이 안 된다’라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전남 구례군 지리산국립공원 내 ‘천은사’는 지난 2019년 4월 29일 사찰 입장료를 전격 폐지해 32년간의 입장료 갈등을 종식시킨 바 있다.

23일 포항참여연대 관계자들은 내연산 입장료 문제와 관련해 보경사 주지 철산스님과 면담을 하고 있다. 황영우 기자
23일 포항참여연대 관계자들은 내연산 입장료 문제와 관련해 보경사 주지 철산스님과 면담을 하고 있다. 황영우 기자

24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현재 내연산 입구에서 보경사 측이 입장료를 받고 있다.

어른 개인 3500원(단체 3000원), 포항시민 2000원, 청소년 및 군인 2000원(단체 1500원), 초등학생 포함 어린이는 면제다.

포항참여연대(이하 연대)는 이를 부당한 수급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연대는 내연산 방문객이 해마다 50~100만 명이 이르는 것으로 추산해 보경사 측이 35억여 원의 수익을 가져간다고 설명한다.

이에 연대는 현재 입구 좌측 건너편의 포항시 시유지를 통해 새로운 입구를 만들어 순수등산객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보경사 자체를 방문하는 인원에 대해서만 입장료를 별도로 받을 것을 주장하고 있다.

연대는 이와 같은 취지로 지난 23일 오후 2시 보경사 주지 철산스님을 면담해 입장을 확인했다.

보경사는 우선 서울의 창덕궁과 경복궁에서도 매표가 이뤄진다는 사례를 제시하며 관리 등 비용으로 1000억 원의 유지비가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보경사는 경내에만 국가지정 보물문화재 6점과 지방문화재가 7점 등이 있고 내연산 12폭포까지 모든 구역이 사찰 소유라고 강조했다.

내연산 방문객을 대상으로 입장권을 판매하고 있는 매표소. 황영우 기자
내연산 방문객을 대상으로 입장권을 판매하고 있는 매표소. 황영우 기자

전국의 다른 사찰의 경우를 근거로 들며 절에 참배를 안 해도 입장료를 내야 한다는 취지를 부연했다.

입장료 수익의 사용 여부에 대해서는 총 수익의 53%는 보경사가 사찰 수용비로 쓰고 나머지 47%는 조계종 종단에 올라가 각종 교육기관 등에 쓰인다고 했다.

철산 스님은 “우리도 매표를 받는 것이 민심에 걸린다”며 “대신 다른 문화재 보유 사찰의 경우처럼 국가에서 지원을 해줘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스님은 “현재 진행 중인 ‘치유의 숲 센터’ 건설도 모두 사찰 땅 위에 도로를 내고 시행되는 데 (우리) 입구를 막으면 폐쇄되게 된다. 내연산 전체가 사찰 사유지이고 국가브랜드인 국가문화재를 안 한다라고도 생각을 해봐야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에 대해 연대는 지난 2016년 자연공원법이 일부 개정됨에 따라 시장이 지정하는 시립공원으로 내연산이 대상에 오른 점 등을 들어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고 맞섰다.

특히 연대는 향후 지적도 일체를 확인해 내연산 구역 중 어느 정도가 보경사 측 소유인지 판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경사에서 매표하고 있는 입장권. 황영우 기자
보경사에서 매표하고 있는 입장권. 황영우 기자

김익태 포항참여연대 위원장은 “과거 경실련 등에서도 해당 문제를 언급했지만 흐지부지된 채 여전히 입장료를 보경사에서 받고 있다”며 “오늘 면담에서 나온 사항에 대해 일체 확인절차를 거쳐 사실관계 여부를 밝히겠다”라고 말했다.

전남 구례군 천은사의 본사 화엄사 주지 덕문스님과 천은사 주지 종효스님은 “사찰이 가난해지더라도 구례군민의 자존심을 회복하고 싶었다. 입장료를 폐지해 천은사가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 곳으로 거듭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했다”라고 입장료 폐지를 전격 결정한 바 있다.

이들 스님은 취임 후 환경부와 문화재청을 비롯해 국립공원공단, 한국농어촌공사, 전남도청, 구례군 등 관계기관을 만나 2년여 동안의 소통 끝에 대승적 차원에서 상호상생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협약이 지난 2019년 4월 29일 체결되면서 매표소를 철거하는 데 성공했다.

황영우 기자
황영우 기자 hyw@kyongbuk.com

포항 북구지역, 노동, 세관, 해수청, 사회단체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