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귀농·귀촌 지원…지방소멸 해법 롤모델이 되다

<글 싣는 순서>
△‘귀농 1번지 경북’ 활력이 솟는다.
△콩 심은 데 이젠 돈 난다.
△들판이 꿈을 키우는 무대로
△좋은 먹거리 소비자가 먼저 안다.
△농업의 첨단화 ‘스마트 팜’
△‘맞춤형 상품 개발’ 영농조합법인
△농촌 활력소 ‘귀농·귀촌 유치지원사업’
△청년정착과 관광 육성 방안

수도권 편중화 현상이 심화하면서 우리나라도 지방 도시 절반 이상이 소멸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경북도의 23개 시·군 중 19개 시·군인 82.6%가 소멸 위기 지역에 속하면서 지방 중소도시의 인구감소 문제는 일찌감치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고령화된 농촌 사회에 젊은 인구를 유입하기 위해 제시된 해결 방안 가운데 하나가 바로 ‘귀농·귀촌 지원 유치 지원사업’이다. 경북도 역시 2004년부터 귀농·귀촌 사업을 펼쳐오면서 전국 1~2위를 다투며 꾸준한 사업 성과를 올리고 있다.
 

경북 귀농귀촌지원센터 홈페이지 캡처.

△ 귀농·귀촌 1번지 경북

경북도의 귀농·귀촌 통계를 보면 지난해 6월 기준 전국 1만7447명 중 3135명이 귀농해 전국 1위를 차지했으며 귀촌은 전국 47만7122명 중 5만563명이 귀촌해 전국 2위를 차지했다.

귀농과 귀촌을 합한 인구 역시 경기도 15만3506명에 이어 경북이 5만3698명으로 2위 자리를 지켰다.

연령대별 귀농·귀촌 비율은 귀농의 경우 30대 이하가 18.1%, 30대 12.1%, 50대 33.3%, 60대 이상이 36.5%로 나타났으며, 귀촌은 30대 이하가 45%, 40대 15.6%, 50대 18.3%, 60대 이상 21.1%로 나타났다.

귀농의 경우 50~60대의 비율이 높았지만 귀촌의 경우에는 30대 이하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현상이 이어졌다.

시군별 현황으로는 귀농의 경우 의성이 212가구(전국 1위)로 가장 많았고 상주 181가구(전국 2위), 김천 155가구, 영천 149가구, 예천 148가구 순이었다.

귀촌은 포항이 5279가구로 가장 많았고, 경주 4355가구, 경산 3866가구, 칠곡, 3443가구, 구미 3154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8년간 추진한 귀농·귀촌 유치지원 사업이 큰 성과로 이어지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경북도가 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2017년 국립안동대학교 내에 귀농·귀촌 종합지원센터를 세우고 귀농·귀촌인 발굴 지원과 귀농·귀촌 실태 연구, 청년 창농·취농 등의 지역 일자리까지 연계하고 있다.

특히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을 통해 최대 6개월간 임시 주거와 연수비(월 30만 원)를 지원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를 통한 마을과 지역별 상황에 맞는 컨설팅도 제공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금까지 추진한 ‘청년 농업인 자립기반 구축 지원’ 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정책을 토대로 유입된 인구를 정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정책도 구상하고 있다.

먼저 농촌으로의 인구 유입을 위해 기존의 인구 유입정책과 더불어 ‘도시민 귀농·귀촌 팸 투어’를 구상하고 있다. 수도권을 비롯한 도시민의 귀농·귀촌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귀농·귀촌에 관심 있는 이들을 모아 시골의 생활방식과 농촌 활동 등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1박 2일의 코스로 도내 농촌 체험마을과 연계해 관광 수요 증대로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귀농인들이 계속 정착할 수 있도록 고령의 어르신이 경작하지 않아 노는 땅을 임대해 농사지을 땅이 없는 신규 귀농인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임대하는 방안도 마련 중이다. 양수자에게는 토양개량제와 기타 자재비 등 유휴농지 개간에 필요한 경비를 지원하고 양여자에게는 행복바우처 카드 우선 발급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경북도 농업정책과 주호범 주무관은 “귀농·귀촌과 농업에 관한 전반적인 정책을 다양한 부서에서 고민하고 있다”며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기 위한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획기적인 방안을 연구하고 또 귀농·귀촌인들이 정착해서 살 수 있도록 꾸준한 노력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존 농업인들과 귀농·귀촌인이 함께 상생할 방안을 마련해 특정 부류가 차별 대우를 받지 않도록 농업을 담당하는 모든 공무원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의성군 스마트팜 전경

△지방 소멸 해법의 롤 모델... 귀농 전국 1위의 의성군

지방소멸 전국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는 의성군의 경우 귀농·귀촌 유치 지원사업에 더욱 사활을 걸고 있다. 2013년 이후 출생대비 사망자 수가 4배가 넘으면서 심각한 인구 절벽의 지역으로 꼽히고 있어서다. 게다가 청년 인구 역시 2만3080명이나 유출되면서 귀농·귀촌 유치 지원사업의 성공은 의성군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 속에 의성군은 경북도와 함께 ‘이웃사촌 청년 시범마을 조성사업’을 펼치면서 의성으로 청년을 끌어모으는데 온 힘을 쏟고 있다.

‘이웃사촌 청년 시범마을 조성사업’은 경북도와 의성군이 역점을 두어 추진하고 있는 인구 유입 정책 중 하나로 ‘의성군 이웃사촌 지원센터’를 통해 지역 공동체 활성화 사업과 도농연계강화 사업, 도시청년유치사업, 청년 일자리 창출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
 

의성군 이웃사촌 시범마을 의성군

특히 의성 서부권역 전체를 대상으로 이장단과 청년회, 부녀회, 사회단체 등 다양한 지역주민이 함께 모여 원탁회의를 통해 지역과 청년이 상생할 방안을 찾고 있다. 청년 동아리 운영과 주민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통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도시청년단체를 초청해 팸투어를 펼치는 등 청년과 지역 통합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만 18세 이상에서 만39세 미만의 창업농 희망 청년을 대상으로 3년 계약을 맺고 월급형 창업을 지원하는 청년 일자리 지원사업의 경우 2019년도에는 50명의 청년이 선발돼 스마트 팜에서 딸기를 수확해 판매하기도 했다.
 

의성군 출산통합지원센터

이 밖에도 청년 괴짜 방과 도시청년 시골 파견제, 청년 사회적 기업 및 마을 기업 육성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청년의 큰 관심을 끌고 있고 의성군 역시 젊은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출산통합지원센터 운영과 국공립어린이집 신축, 경북형 마을 돌봄 터 설치 등의 발 빠른 행정을 펼치고 있다. 또 소아청소년과와 분만 산부인과 운영을 지원해 의료체계 지원에 대한 내실화도 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의성군은 ‘2020년 귀농·귀촌 통계 조사’에서 귀농인 규모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며 살아나는 농촌의 롤 모델이 되고 있다. 자체적으로도 2019년과 비교했을 때 귀농인 규모가 24%가 증가했으며 2위인 상주시와의 차이도 크게 벌여 체계적인 귀농 프로그램과 청년 정책이 본격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이다.
 

의성군 스마트팜 내부시설

특히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이전과 이웃사촌 시범마을 등을 통해 많은 청년이 의성에 정착하면서 고령 사회의 이미지에서 청년이 모여드는 도시로의 이미지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에 힘입어 의성군은 귀농인의 성공적이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영농기반확충을 위한 보조사업 △영농기술이 부족한 초보 귀농인을 위한 기초 영농기술교육 및 1대 1 과외 교육 △지역민과 갈등 해소를 위한 융화교육 △지역민과 화합할 수 있는 귀농인연합회사업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그동안 열심히 노력해 온 청년 정책들이 좋은 성과를 낸 것 같다”며 “앞으로도 귀농인의 안정적인 정착과 활력 넘치는 의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정목 기자
이정목 기자 mok@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