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드론 양산체제 구축" 지시에 스텔스·킬러드론 체계 개발 착수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이 4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오전 회의에서 합동 드론부대 창설 및 스텔스 무인기 연내 개발을 지시했다”고 밝히고 있다.연합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합동 드론부대를 창설하고 소형 드론에 대한 연내 대량 생산체계 구축 및 스텔스 무인기 생산 개발에 박차를 가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가안보실과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국방과학연구소와 회의를 갖고 확고한 안보 대비 태세와 압도적 대응 능력을 국군에 주문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 지시가 떨어지자 군 당국은 즉각 ‘합동 드론사령부’를 창설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식별·타격체계를 강화해 무인기·드론 방공망을 촘촘히 구성하겠다는 방안이다.

4일 국방부에 따르면 군은 감시·정찰과 전자전 등 다목적 임무를 수행하는 합동 드론사령부를 조기에 창설할 계획이다. 윤 대통령이 창설을 지시한 드론부대가 사령부 형태로 꾸려지는 것이다.

이 사령부와 관할 부대는 육·해·공군, 해병대 인원과 이들 군의 전력이 합동으로 참여해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드론사령부의 작전운용 개념이나 지휘구조, 편성, 전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추진할 예정”이라며 “필요한 검토 과정은 많지만, 이른 시일 안에 창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이 군에 ‘연내 생산’을 지시한 스텔스 무인기, 소형 드론 등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기존에 보유한 기술을 활용해 실제 올해 안에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국방부는 강조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ADD는 체계개발을 하기 전에 다양한 기술을 개발한다”며 “스텔스 무인기 기술을 과거부터 자체적으로 해오던 것이 있었다. 연내 남은 시간 동안 최대한 집중해서 개발 속도를 높여서 해볼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는 군단급 무인기 등 중대형 무인기 개발에 집중해왔지만, 현재 한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소형 무인기가 화제인 만큼 이미 확보한 관련 기술을 활용해 소형으로 만들면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다는 취지다.

군은 또 드론을 잡는 ‘드론 킬러 드론’ 체계도 신속히 개발하기로 했다. 아직 구체적 확보 계획은 밝히지 않았으나 예산과 전력화 시점 등을 고려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밝혔다.

드론 킬러 드론은 적 드론을 레이저빔이나 총기 발사, 그물망 투하 등의 방식으로 격추하거나 떨어뜨리는 드론 체계를 말한다.

군은 감시·정찰·타격용 드론과 무인기 확보뿐 아니라 적의 드론·무인기를 찾아내고 격멸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레이더 등 탐지 자산은 접적 지역 전방에 대한 광역 감시·식별이 가능한 체계 구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군은 탐지와 동시에 어떤 물체인지 식별하고, 다수의 항적을 동시에 추적하며, 저공비행까지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번 북한 도발 당시 무인기를 가장 먼저 탐지한 국지방공레이더(TPS-880K)를 확충하기로 했다.

침투한 드론·무인기를 타격하는 체계로는 ‘드론건’(재머·전파방해장치) 등을 새로 확보해 민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방편이다.

특히 기존 지상 대공무기들과 탐지 자산의 탐지 정보가 연계되지 않았던 점을 고려, 무인기 표적 정보가 실시간으로 연동돼 통합 운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윤 대통령이 ‘연내’로 시점을 못 박은 감시·정찰·타격용 드론·무인기 확보 계획과 달리 드론·무인기 탐지·방어 자산의 도입 시점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한편, 군은 현재 무기체계와 부대들을 활용한 더욱 개선된 작전수행 개념을 수립해 합참과 작전사령부 주관 훈련으로 이를 검증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구체적 전력을 언급할 수는 없지만, 레이더, 헬기, 지상 방공무기 전력 등을 효과적으로 재배치하고 조정해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기동 기자
이기동 기자 leekd@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 대통령실, 국회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