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동월 대비 29.5% 인상된 요금 고지서 반영
LPG 국제 가격도 큰폭으로 올라 서민들 부담 가중

새해 첫 달 물가가 5% 넘게 오르며 3개월 만에 상승 폭이 확대된 가운데 그 이유로는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이 컸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는 1년 전보다 28.3% 급등해 별도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2일 오후 서울시내 한 건물에 전기 계량기가 나란히 설치돼 있다.연합
새해 첫 달 물가 5% 넘게 오른 데는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이 컸다. 여기에 1월 추가로 오른 전기요금은 2월 고지서에 본격 반영되는 만큼 서민 가계 부담을 가중 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5.2% 올랐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는 1년 전보다 28.3% 급등해 별도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공사는 ㎾h당 전기료를 지난해 세 차례(4·7·10월)에 걸쳐 19.3원 인상 한에 이어 올해 1분기 전기요금도 ㎾h당 13.1원 인상하는 요금 조정안을 지난해 12월 30일 발표했다.

작년 한 해를 통틀어 인상된 전기요금이 19.3원임을 고려하면 올해 1분기 인상 폭은 특히 가파른 수준이다.

이에 따라 1월 전기료는 전월 대비 9.2%, 작년 동월 대비로는 29.5% 뛰어올랐다.

도시가스는 1년 전보다 36.2% 급등했고, 지역난방비도 34.0% 올랐다.

전체 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작년 7월 0.49%포인트, 10월 0.77%포인트, 지난달 0.94%포인트로 점점 커지고 있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1월1일부터 인상된 전기료 부과는 2월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겨울철 한파로 인한 난방비 부담이 가중된 가운데 전기료 인상까지 겹치면서 서민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

급등한 난방비를 우려해 가스난방 대신 전기 난방기기를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 전기료가 크게 오를 수 있다.

주택용 전기료는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요금이 비싸지는 누진제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평균 소비 전력이 1967W에 달하는 온풍기의 경우 하루 8시간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월 사용량은 472㎾h다.

일반 4인 가구와 취약 계층의 월평균 전력 사용량인 304㎾h, 297㎾h보다 많은 수준이다.

누진제까지 적용되면 지난해 1월 기준으로 전기료는 일반 4인 가구의 경우 4만5000원에서 22만1000원으로, 취약 계층의 경우 2만6000원에서 19만6000원으로 폭등하게 된다. 한전 측은 “사용량이 누진 3단계에 진입하면 요금 부담액이 대폭 증가한다”며 “저효율 전기 난방기기의 사용을 자제하고, 합리적·효율적인 전기 사용을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민 연료로 쓰이는 액화석유가스(LPG) 국제 가격도 큰 폭으로 올라 국내 가격 상승 우려가 높아졌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는 2월 국제 LPG 가격을 프로판과 부탄 모두 t(톤)당 790달러로 결정해 국내 LPG 수입사에 통보했다.

전월과 가격을 비교하면 프로판은 200달러, 부탄은 185달러 각각 올랐다.

아시아 지역 한파와 중국 석유 수요 회복 등이 맞물리면서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남현정 기자
남현정 기자 nhj@kyongbuk.com

사회 2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