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쟁의대책위원회 출범

포항제철소 전경.
한국산업의 동맥 포스코가 창업 55년 만에 사상 초유의 파업을 향한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위원장 김성호)은 7일 오후 포항제철소 본사 앞 도로에서 포스코노조 2023년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2023 임단협 협상결렬에 따른 쟁의행위 절차에 들어갔다. 이에 앞서 노조는 지난 5월 2023 임단협과 관련 기본임금 13.1% 인상, 자사주 100주 지급 등 모두 81가지의 요구조건을 사측에 제시하고, 협상에 들어갔다.

이중 임금성 제시안은 기본금 인상 등 모두 23건이다.

특히 노조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인한 포항제철소 침수피해 당시 조합원들이 135일간 흙탕물과 싸우고 있는 동안 경영진들은 스톡그랜트 무상주식 지급 결의가 한창이었으며, 최정우 회장의 연봉이 60% 오를 때 조합원들의 연봉은 줄어들었다고 강조했다.

노사 양측은 지난 5월 이후 3개월 여 동안 모두 23차례의 교섭을 가졌지만 조합측의 요구안에 대한 사측의 제시안이 없다며 지난달 23일 협상결렬을 선언함과 동시에 운영위원회와 임시대의원총회를 잇따라 개최, 지난 9월 6일 쟁의대책위원회 구성해 향후 쟁의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노조측은 지난 6일 광양제철소에 이어 7일 포항제철소 쟁대위 출범식을 가짐에 따라 본격적인 쟁의절차에 들어갈 전망이다.

우선 노조측은 사측의 협상 재개 의지가 보이지 않을 경우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신청을 하는 한편 쟁의행위에 대한 전체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파업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노측의 이 같은 움직임 속에서도 사측은 협상결렬 선언 이후 눈에 띌 만한 확고한 변화의 모습이 감지되지 않고 있다.

사측은 노측의 협상결렬 선언 이후 정식공문을 통해 협상재개를 요청했으며, 노조를 직접 방문해서도 이 같은 뜻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측은 사측으로부터 공식적인 협상재개 요청을 받은 적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노사 양측의 입장이 갈라서고 있다.

무엇보다 올들어 후판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업들이 부진의 늪에 빠져 있는 상황이어서 노측이 제시한 임금성 요구안을 충족시켜줄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것도 문제다.

이처럼 노사간 간극이 점점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사상 초유의 파업사태로 치닫지 않을까 라는 시민들의 우려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다행히 지난 6일 열린 임시대의원대회에 참석한 대의원들 중 ‘23차례의 교섭 중 실질적으로 협상테이블에 오른 것은 4차례 뿐인데 너무 성급하게 협상결렬을 선언한 게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되는 등 파업절차에 앞서 보다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김성호 위원장도 쟁의대책 예산승인과정에서 대의원들간 의견이 엇갈리자 “우리는 강성노조가 아니며, 사측의 성의있는 태도만 보인다면 쟁의행위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사측의 성의있는 협상 움직임이 있을 경우 협상재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이에 사측도 “지난달 23일 노측의 협상결렬 선언 이후 두 차례에 걸쳐 협상재개 공문을 발송했고, 협상실무자가 직접 노조를 찾아가 협상재개를 요청했다”며 “앞으로 원만한 협상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사측에서도 적극 노력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즉 7일 노조 측이 쟁대위를 출범시키기는 했지만 일단 파업 등 쟁의행위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한 자세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사측도 협상결렬 선언 이전보다는 좀 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당장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을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은 최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최근 회사 상황 및 임단협과 관련한 회사 측 입장’을 담은 서신을, 김성호 노조위원장은 ‘협상결렬 및 쟁의행위 추진에 대한 입장’을 조합원들에게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