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정합의안 반대 49% 불씨 여전
상호 신뢰 바탕 상생 기반 절실
동국제강 상생경영 모델 삼아야

포스코노동조합.
사상 초유의 파업 초읽기에 들어갔던 포스코노사가 지난 13일 2023년 임금 및 단체협상 타결식을 가졌지만 노사상생문화 정착을 위해 풀어야할 과제를 남겼다.

특히 이번 임단협과정에서 가장 첨예하면서 협상의 폭을 좁히지 못했던 부분이었던 자사주 지급 문제가 그룹 임원들에게 지급된 스톡그랜트가 원인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노사가 함께하는 상생경영 기반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최근 국회를 통과한 노동조합법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노동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상생적 노사관계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가 될 전망이다.

포스코노사는 지난 5월 2023 임단협을 위한 상견례를 시작으로 24차례의 교섭을 가졌으나 노측의 요구안과 사측 제시안 간 격차가 10배나 되면서 파업절차에 들어갔다.

노측 요구안 중 가장 큰 부분은 자사주 100주 지급이었다.

자사주 100주는 지난 5월 교섭 시작 당시 포스코홀딩스 주가가 40만 원대 였던 것을 감안하면 1인당 4천만 원에 이르는 요구사항이었다.

노측이 이 같은 요구를 한 배경은 지난 3월 전자공시를 통해 스톡그랜트 2만7천30주(당시 주가 기준 99억4천704만원)를 주요 임원 28명에게 지급한 것이었다.

지급된 스톡그랜트는 지난 2021년 이사회에서 결정됐으나 지난해 태풍 힌남노 피해복구를 겨우 마무리하고 정상가동에 들어간 시점에서 지급이 이뤄지면서 노측의 불만이 터져 나왔다.

특히 사측은 지난해 7월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한 데 이어 올 초에도 비용절감을 촉구한 가운데 스톡그랜트 지급 사실이 알려지면서 올해 임금협상의 쟁점이 될 것을 예고했었다.

결국 노측은 전 직원들에게 자사주 100주 지급을 요구안에 포함시켰고, 임금인상안과 함께 최대쟁점이 된 끝에 협상결렬과 파업절차로 진행되는 빌미가 됐다.

이에 대해 ‘책임경영 강화차원에서 지급을 결정한 것’이라는 사측의 주장에도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태풍 힌남노 피해복구에 혼신의 기울여 왔던 현장직원들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처사로 받아 들일 수 밖에 없었다.

우여곡절 끝에 쟁의행위 직전 극적인 잠정합의와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가까스로 가결이 됐지만 반대표가 49%를 넘었던 만큼 앞으로의 임단협과정에서 언제든지 재점화될 가능성도 남겨 놓았다.

실제 이번 잠정합의안이 가결된 뒤에도 조합원과 비조합원 속에서 “이럴 거면 뭐하러 쟁의행위 투표를 했는지 모르겠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무엇보다 일부 임원진에게 지급된 스톡그랜트가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됐다는 점에서 노사상생 경영방침이 절실함을 확인시켜줬다.

특히 최근 국회에서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노사 관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포스코 노사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상호 신뢰에 바탕을 둔 동국제강의 ‘항구적 무파업 선언’과 같은 상생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동국제강 노사는 지난 1994년 항구적 무파업을 선언한 뒤 올해까지 29년 연속 임단협 무분규 타결을 이루며, 노사가 회사 발전을 위해 힘을 모아 왔다.

동국제강의 항구적 무파업 선언은 노측의 사측에 대한 신뢰가 밑바탕이 됐다는 점에서 사상 초유의 파업사태 직전까지 갔던 포스코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