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제철보국(製鐵報國) 도시’에서 ‘전지보국(電池報國)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2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을 계기로 세계적인 배터리 소재 도시의 명성을 쌓고 있다. 프랑스 주요 경제지에서 취재를 올 정도로 포항의 배터리 소재산업이 이미 정착돼 가고 있다.

2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을 계기로 포항시는 2030년까지 양극재 100만t 생산, 매출 100조 원, 고용 1만5000명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생산, 기술, 인재 등 3박자를 모두 갖춘 ‘2차전지 메가클러스터’ 건설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2차전지 특화단지 추진단’까지 출범시켰다.

포항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양극재와 리튬 생산 등 배터리 소재 밸류체인을 완성한 에코프로와 올해 안에 아르헨티나 염호에서 추출한 리튬 생산이 가시화되고 양극재와 음극재를 동시에 생산하는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퓨처엠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2027년까지 확정된 투자액만 14조 원으로 영일만산업단지와 블루밸리산업단지가 협소할 지경이다.

포항이 철강에 이어 이차전지 소재산업의 세계적인 기지가 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전 세계인들이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차로 갈아타게 될 최소 30년간의 소재산업 패권을 포항이 쥐는 절호의 기회를 잡았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포항은 단순히 경북의 대표도시가 아니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명품 이차전지 소재산업 도시로 세계 시장에 알려야 한다. 이런 시점에 범정부적, 국가적인 지원을 쏟아부어야 하는데 정부가 다소 주춤거리고 있어서 안타깝다.

경북도와 포항시가 지난달부터 2차전지 중 배터리자원순환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을 추진해 왔다. 2019년 전국에서 처음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이후 전기차 보급이 앞선 유럽연합(EU), 미국 등 국제적인 재활용 시장의 선점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다는 복안이었다. 하지만 중소벤처기업부가 이달 중에 발표할 예정인 글로벌 혁신특구에서 2차전지 분야를 제외할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시가 5일 블루밸리국가산단에서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의 국가 기반 구축을 위한 ‘전기차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를 착공했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없이는 성공하기 어렵다. 배터리산업 기술의 초격차를 위한 포항의 배터리 자원순환 글로벌 특구 지정이 급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