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은 경주와 울진에 혁신형소형모듈원자로(iSMR) 연구단지와 원자력 수소 국가산업단지를 유치했다. 경북도는 이보다 훨씬 앞서 김관용 도지사 당시부터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을 공언했다. 그도 그럴 것이 경북 동해안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대형원전이 있다. 국내 원전 32기 중 경북에 절반인 16기(울진 10기, 경주 6기)가 있다.

경주에는 한국수력원자력 본사가 있고,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문무대왕과학연구소,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중수로해체기술원 등의 원자력 관련 중요 기관이 집결돼 있다. 울진에도 원자력 방재타운과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가 있고, 포항에는 포스텍 원자력전문대학원이 인력 양성 기관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경북은 원전 관련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원전 기업 생태계가 구축되지 않아 전력의 생산 기지나 관련 R&D센터 역할에 머물고 있다. 10여 년 넘게 추진해 온 원자력 클러스터 구축이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경남도청 민생토론에서 원자력이 곧 민생이라며 지난해 3조 원 규모로 공급됐던 원전 일감을 올해 3조3000억 원으로 확대 공급하겠다 했다. 그야말로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챙기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정부가 경북 경주에 SMR 국가산단을 지정해 놓고 창원·경남에 자리 잡은 원전 기자재 업체들의 역량을 활용해 ‘SMR 클러스터’로 발전시키겠다고 한다. 창원시는 이미 원자력 기업 31개 사가 참여하는 협의회를 출범시키고, 원자력 기자재를 공급하는 원자력산업 글로벌 파운드리 도시가 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밝혔다.

경북도가 지난해 3월 ‘경북 원자력 르네상스’를 선포했다. 경북도가 연구와 실증, 산업 육성, 안전관리와 문화공간, 공공기관 등 5개 분야 19개 사업으로 원자력 클러스터 추진 전략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투입될 예산이 2조4578억 원 규모라고도 했다. 하지만 경북도의 이 같은 계획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기 어렵다. 원자력 관련 기업의 유치 없이는 창원·경남 등 원전 기자재 업체가 밀집된 지역에 비해 실익이 적을 수밖에 없다. 경북도는 미래 원자력 사업인 iSMR 분야라도 특화된 기업의 유치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경북 원전산업을 원점에서 재점검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