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되는 고물가에 서민 가계의 허리가 휘고 있다. 높은 수준의 물가가 진정되지 않는 이른바 ‘끈끈한 인플레이션(sticky inflation)’이 경제를 짓누르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1% 올랐다. 1월 2.8%를 기록하며 6개월 만에 2%대로 내려앉았다가 다시 3%대로 올라섰다.

정부가 4·10 총선을 앞두고 물가 목표치를 2%로 잡았지만, 다시 고개를 쳐들고 있다. 체감 경기 회복은커녕 서민 가계는 그야말로 봄이 왔지만 봄 같지 않은 물가고에 고통받고 있다. 지난해부터 폭등세를 보이고 있는 과일뿐 아니라 채솟값도 치솟아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 밥상을 덮쳤다.

지난해 8월부터 두 자릿수 상승세를 이어가던 과일 가격은 지난달 41.2% 급등했다. 32년 만에 가장 큰 폭 상승이다. 사과값은 1년 전보다 무려 71% 올랐다. 대체 과일을 찾는 수요가 몰려 귤값도 78.1%나 치솟았다. 서민들은 과일 먹을 엄두를 내지 못할 지경이다. 수입하는 방안을 찾아 과일 출하량을 늘려야 한다.

과일은 대체 상품으로 소비를 줄일 수 있다지만 파와 배추 등 채소는 대체 불가다. 이들 채소는 대부분 음식에 들어가는 생활필수품에 가까워 서민 가계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2월 채소류 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12.2% 올랐다. 지난해 3월(13.8%)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파가 50.1%, 배추 21%, 시금치 33.9%, 호박 21.9% 올랐다.

정부는 봄 대파가 본격 출하되는 5월 이전까지 할당관세 물량을 3000t 추가하기로 했다. 다음 달까지 약 204억 원을 투입해 13개 과일·채소에 납품단가 인하도 지원하기로 했다. 배추는 포기당 500원, 대파 ㎏당 1000원, 토마토 ㎏당 1800원 등이다. 하지만 공급 물량의 확대 없는 납품가 지원으로 치솟는 물가를 잡을 수 있을 지 의문이다.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유류세 인상 연장과 전기·가스 요금을 억누르고 있어서 4월 총선 이후의 물가 전망도 어둡다. 물가고에 서민 가계가 비명이다. 사과와 귤 탓만 해서는 안 된다.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물가 안정 대책을 내야 한다. ‘물가와의 전쟁’이라도 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