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의과대학 교수들이 ‘사직 결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공의 복귀를 위한 정부의 전향적 태도를 촉구하기 위해서라 한다. 의대 증원에 반발해 환자를 두고 병원을 떠나는 전공의들을 설득하기는커녕 교수들마저 집단행동에 동조하고 나선 것이다. 이 같은 의료계의 집단행동은 환자와 가족을 불안과 걱정에 휩싸이게 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19개 의대 교수들이 12일 밤 회의를 열어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아울러 오는 15일까지 사직서 제출 여부에 대해 논의를 끝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이 모여 집단화될 경우 왕왕 강경 일변도의 주장이 나오기 마련이다. 교수들의 ‘사직 결의’가 우려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 결의가 사태 해결을 위한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라지만 의료계가 집단으로 정부의 정책에 맞서는 모습으로 비치고 있다.

대통령실은 13일 의과대학 정원 증원 문제를 1년 뒤 결정하자는 서울대 의대 교수들의 주장에 대해 “1년 늦추면 피해가 더 막심해질 것”이라 일축했다. 의대 정원 조정은 정부의 몫이며, 정부는 당초 발표한 2000명 증원 규모는 협상 테이블에 오를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재차 명확히 확인했다. 정부가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PA(진료지원) 간호사, 군의관·공보의를 비롯한 대체인력 보강, 병원별 환자 수요관리, 현장 의료진 번아웃 예방에 전력을 쏟고 있다.

12일에는 경북도의회가 ‘의대 정원 확대 지지 및 의사들의 진료 현장 복귀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에는 의대 증원 지지는 물론 지역대학 의과대 신설, 경북·대구 의대 정원 411명 최우선 증원과 함께 의사단체의 의료현장 즉각적인 복귀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의료계의 주장과 달리 지역의료 붕괴는 의사 증원 없이는 해결되지 않는 고질이다. 증원되는 의사 인력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간다 해도 수년간 수도권에서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 지역의료 현장에도 머물 수 있을 확률이 그만큼 높을 것이다. 경북은 22개 시군 중 15개 시군이 응급의료 취약 지역이고, 18개 시군이 분만 취약지다. 인구 1000명당 의료기관 종사 의사 수는 2.2명에 불과해 전국 평균 3.2명, 서울 4.8명에 비해 턱없이 적다. 이런 현실을 보면 의료계 집단행동은 국민의 공감을 받기 어렵다. 의료인은 환자들이 애타게 기다리는 의료 현장에 즉각 복귀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