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현 부사장

박근혜 당선인의 민생투어가 예사롭지 않다. 민생대통령 공약을 지키기 위해서일까?

새 대통령의 고민은 무너지고 있는 중산층을 되살려 국가경제구조를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세계 경기침체로 인해 올해 국내 경기전망도 불투명해 그 어느 때보다 험난할 것으로 예상돼 경제 살리기가 만만찮은 숙제다.

글로벌 경제위기 5년을 들어다 보면 아직도 경제는 위기상태이다. 유럽은 국가부도를 막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두 자릿수 성장을 거듭해온 중국의 성장세는 7%대로 떨어졌다. 미국은 당장 나라살림 규모를 줄여야 한다. 세계 모든 나라 경제가 이렇게 어렵고 깜깜한 상황이다.

수출과 내수 모두 어려운 상황에 있어 성장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천조 원에 육박하는 가계 빚이 내수시장을 고사시켰다. 북한의 위협과 주변 강대국들의 지도부가 개편된 동북아의 변화도 새 정부에는 시련이 될 것이다.

이를 때일수록 정의가 사회의 규범으로 바로 설 수 있도록 양심의 정치를 펼쳐야 한다. 기대에 부응하는 공약실천과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갈등 해소도 시급한 과제다. 대통합의 큰 정치만이 살길이다.

지난 임신년은 참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한해였다. 하지만 향후 5년간 대한민국 미래를 열어갈 여성대통령 탄생의 기쁨은 하늘을 찌른다. 첫 직선제 여성대통령 탄생과 높은 투표율, 과반이 넘는 득표율은 천지개벽이다.

이변이 속출한 지난 대선은 우리 국민이 얼마나 위대한가를 다시 한 번 실감한 선거였다. 지역과 세대, 이념에 따라 지지가 크게 갈렸지만 나라와 국민을 위하는 마음에는 모두가 하나다. 국민 대통합을 통해 우리 국민 모두의 승리를 만들어 갈 때이다.

새 정부의 첫째 과제는 저성장을 극복하는 일이 돼야한다는 주문이 많다. 성장률이 떨어지면 투자가 줄어들고 일자리가 늘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선거과정에서 쟁점이 됐던 경제민주화와 복지확대도 성장 패러다임 안에서 검토해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제가 성장해야 복지가 가능하다는 논리에서다. 경제를 살리는 일. 쉽지는 않다. 유럽과 미국, 중국, 일본 모두 저성장을 벗어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나부터 살고 보자며 경제전쟁, 환율전쟁도 마다하지 않을 태세이다.

경제전쟁은 남의 문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자기들에게 미식이 되는 것도, 남이 하면 야만적인식성으로 둔갑할 수 있다. 불란서의 한 여배우가 우리나라의 개고기 식용을 비난 한바 있다. 그러다 보니 남에게는 엄격하지만 자신에게는 관대하다.

새 정부에 국민들이 거는 기대가 큰 만큼 경제전쟁에서 이기는 길 밖에 없다.

어쨌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민생대통령이 되려면 경제대통령이 돼야 한다. 한국 경제의 앞날에 대한 비전제시와 필요하다면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 일본처럼 장기불황으로 갈지? 다시 한 번 '잘 살아 보세' 신화가 만들어 질지? 새 정부의 선택과 집중에 달려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