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모, 인터넷, 대학내 부재자투표...‘2002년판 정치교과서’가 있다면 새롭게, 그리고 가장 빈번하게 등장할 단어들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대통령후보 경선을 시작으로 12.19 대통령 선거에 이르기까지 굵직한 정치행사가 줄을 이었던 2002년 한국정치의 현주소를 알려주는 키워드인 것이다.
‘정치 무관심족’으로만 알려졌던 ‘2030(20대-30대 젊은층) 세대’가 정치행위에 대한 심판의 주도세력으로 등장했음을 말해주는 이같은 지표들은 2002년 정치가 낳은 새로운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젊은층의 정치참여는 이미 예고됐었다. 이들은 지난 6월 월드컵 때 ‘대~한민국’을 외치며 붉은 악마차림으로 전국 곳곳의 광장과 거리를 가득 메웠다.
이들은 대선 직전엔 여중생 사망사건에 대한 항의표시로 광화문 일대를 촛불로대낮같이 밝혔었다.
이에 앞서 2년여전 이미 4.13 총선때 ‘바꿔 바꿔‘ 개사곡과 386세대 정치인들의대거 등장과 그 이후 집권여당인 민주당의 1년이상에 걸친 쇄신파동은 기성 정치와정치인의 변화를 갈망하는 젊은층의 행동화 가능성을 예고했었다.
역대 선거에서 젊은층의 ’저조한 투표율’은 “투표한들 세상 변할 게 있느냐”는 자조와 자신감의 부족때문이었다면 월드컵이 그들의 파워를 확인한 계기였으며 그 이후 계속 동원된(mobilized) 상태에 있다 대선을 맞은 것이다.
이들이 어느정도 투표에 참여했는지는 아직 정확한 통계가 나오지 않았으나, 각 투표소에서 특히 투표참여를 호소하는 인터넷 사발통문이 돈 후 젊은층 유권자들이 유난히 많이 눈에 띄었다는 게 투표소 현장의 일치된 목격담이다.
정치분야 영파워는 특히 사이버 공간의 특성 때문에 더욱 증폭됐다.
과거 유권자들은 신문·방송을 통해 정해진 시간에 같은 내용의 ‘정제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받았으나 초고속 통신망 가입자가 1천만명을 넘어선 2002년 이들은 사이버 공간을 통해 다양한 원자료 정보를, 서로 신속히 받고 전파할 뿐 아니라 이과정에서 스스로 분석·판단하는 능력도 키운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