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중부선 건설계획이 당초보다 앞당겨져서 2010년까지 완공하는 것으로 돼 있다. 철도를 놓는 일은 수백년을 내다보고 해야 할 국가적 사업이다. 한번 잘못되면 두고두고 말썽거리가 되어서 사업을 추진했던 주체가 비난을 받는다.
지금 동재중부선의 노선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벌어지고 있는데, 그 결론은 포항시가지를 우회하는 노선을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란 세월이 가면서 팽창하므로 노선은 항상 시외곽지를 우회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당한 세월이 지난후에는 그 노선도 ‘도심을 통과하는 노선’이 돼버린다. 시가지는 항상 驛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도노선은 최소한 수백년을 내다보고 건설돼야 한다.
포항시의 경우 앞으로 신항만이 완공돼 배후도시가 형성되면 기존의 철도나 과거 반세기 전에 계획돼 있던 철도는 ‘도심의 노선’이 돼버린다. 그러므로 동해중부선은 이러한 미래의 모습을 감안,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포항시는 이미 2000년 10월 철도청과 경북도에 보낸 ‘동해중부선 철도부설 기본계획협의’란 공문을 통해 ‘경주 양동역과 포항 효자역 중간지점인 부조역에서 청하면 소동리로 연결되는 시가지 우회철도’건설을 건의한 바 있다.
지금 이 부근에는 위덕대학교가 서 있고 그 앞으로 우회도로가 놓여져 있다. 포항시가지를 통과해 삼척쪽으로 가는 차량들이 대거 이 도로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해중부선 철도 또한 이 부근을 통과하는 것이 마땅하다.
周知하는 바와 같이, 철도가 도심을 통과하게 되면 수많은 부작용을 발생시킨다. 도시를 양분시켜 도시성장을 기형적으로 만들고, 소음이 심각해 시민정서를 크게 해치고, 부지보상비가 지나치게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보상과 관련해서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건설사업을 매끄럽게 추진하기도 어렵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포항~경주간 철도는 굴곡이 심해서 거리에 비해 소요시간이 너무 긴 ‘완행노선’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도 우회노선은 반드시 필요하다.
무릇 대형 국책사업에는 이해당사자들이 수없이 관련될 것이므로 분쟁의 소지는 너무나 많다. 따라서 분쟁의 소지를 최소화시키려면 계획단계에서부터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공감대가 최대화되는 계획일 때 분쟁과 갈등 마찰의 소지도 줄어드는 것이다. 동해중부선 건설은 수백년을 내다보는 계획이어야 하고, 우선 우회노선을 확정짓는 것이 무엇보다 앞서야 할 일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