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갈수록 지방대학의 위기는 심각성을 더해간다. 몇몇 대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방대가 정원미달이라 한다. 서울에 있는 대학들과 그 중 몇몇 명문대학은 지망생이 터져나가는데, 지방대학은 여전히 썰렁한 분위기다. ‘지방대 살리기’를 아무리 맹렬히 외쳐봐도 별 효과가 없고, 갖은 방안이 나와도 실효가 없다.
최근 대구에서 대구사회연구소 주최로 열린 ‘지방분권시대 지역혁신 정책토론회’에서 홍덕률 대구대 사회학과 교수가 발표한 내용이 주목을 끌었다. 그 내용은 대학 자체의 문제점과 정부정책의 문제점을 시원하게 지적한 것으로 현직 교수의 신분으로는 말하기 어려운 ‘바른말’을 토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홍교수는 ‘지방대학의 위기는 재정뿐 아니라, 도덕성과 정체성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재단 비리와 전횡 등 도덕적 리더십이 위기에 처해 있고, 교육내용이 지역사회의 현실과 부합되지 않는 정체성의 위기를 해결하지 않고는 지방대학의 미래는 없다”고 그는 주장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특성화와 구조조정, 대학연합, 학과통폐합, 재정지원 등으로 지방대학의 문제를 해결할 의지를 가지고 있으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했다. 지방대학들의 재단비리가 사라지지 않는 한 재정지원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것이다.
올 들어 대구예술대와 동덕여대, 광주여대 등 3개 사립대가 교육부로부터 파면, 해임, 등 각종 징계를 등 지방 사립대의 재단비리가 끊이지 않고, 다른 대학들도 비리와 말썽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은데, 이런 ‘속병’을 수술하지 않고는 어떤 ‘대증요법’도 실효성이 없다는 것이다.
대학사유화 논란, 교수채용관련 금품수수, 학교 공금 유용, 등등 대구권만해도 22개 대학중 13곳이 각종 비리에 휘말려 있고, 경북지역 대학들도 예외가 아니어서, 비판적 교수의 해임을 둘러싼 인사상의 말썽, 공금유용과 전횡으로 인한 소송 등등 대학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사례들이 적지 않다. 이런 일들이 지방대학의 성가를 떨어트리고 경쟁력을 약화시킨다.
경영자들은 늘 재정위기를 앞세우겠지만, 교수·학생들은 대학의 비리에 ‘말 못하고’ 울분만 속으로 삼킨다. 非理가 있는 한 경쟁력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은 정한 이치다. 경영층이 대학을 건강하게 키울 의지를 가지고 있느냐가 문제다. 누가 봐도 수긍할 만큼 공정한 교수임용, 대학공금의 정당한 집행,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의 육성과 특성화, 民 學 産 官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등이 제대로 된다면, 최소의 재정지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