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경제가 빈사상태에 허덕이는 이유는 뭘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잘못된 지역 건설정책에서 비롯됐다.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는 IMF이후 ‘지역경제 살리기’의 일환으로 관급 공사의 경우 자신들의 지역기업을 살리기 위한 지역업체 할당제(공사금액의 50%)를 2000년부터 발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대구도 지역 건설업계와 언론에서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자 급기야 올 초 조해녕 대구시장이 직접나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그간 잘못된 건설정책을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요지는 다른 자치단체와 마찬가지로 지역내 관급 발주공사 중 50%를 의무적으로 지역 전문건설업체에 하도급 하도록 입찰공고문에 명시토록 했다.
그러나 조시장의 이같은 약속이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상급기관인 대구시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일선 시·군과 시 산하기관에 ‘강 건너 불 구경’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지업체들이 지난해 지역으로 밀려들면서 대형아파트 현장의 공사 하도급 실태도 지역전문건설업계의 불만을 터트리게 하고 있다.
실제로 아파트 600-700세대를 건립하는 경우 공사금액만도 1천억원을 훌쩍 넘긴다.
지역 주민들을 상대로 높은 금액으로 분양한 뒤 지역에서 돌아야 할 돈을 모조리 외지로 유출시키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일부 업체는 고작 2억원만을 지역업체 공사에 할당했고, 심지어 어떤 업체는 아예 한푼도 지역건설업체에 맡기지 않고 있다.
지난해 아파트 2만여세대가 분양돼 외형적으론 지역 경기가 활성화되지 않느냐는 기대감을 나타냈지만 이같은 행태가 지속되는 바람에 외지업체의 공사가 진행될수록 지역자금 역외유출은 가속화돼 지역경제가 빈사상태로 빠져들고 있는 아이러니를 보이고 있다.
지역경제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건설이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가 활성화 될 리 만무하고 돈의 흐름을 막아 지역 유통업계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
현재 지역에는 30여개의 외지업체가 진출해 총 3조~4조원 규모의 공사를 벌이고 있지만 지역업체의 공사수주액은 9%대에 머물고 있다. 줄잡아 수천억원이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이다.
대구시의 발표처럼 지역업체 하도급 비율을 30-50%까지 끌어올린다면 지역경제의 돈 가뭄을 해소하는 첨병역할을 하리라고 본다.
행정당국이 지역경제의 핵심을 꿰뚫고 좀 더 적극적인 사고를 가져야 한다. 윤용태기자
yty@kyongbuk.co.kr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