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나 임시 주거 시설이 경북에는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밝혀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 12일 밤 역대 최대 규모의 강진일 발생한 후 400여 차례의 여진이 발생한 가운데 19일 밤 또다시 4.5 규모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경북지역 2천 600건, 대구 지역 1천330건 등 4천 건 가까이 지진 관련 피해 신고가 접수됐으며, 진원지인 경주 지역은 100억 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해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임박하다.

20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23개 시군 지진 대피 장소로 지정된 곳은 운동장 528개소 77만 266명, 공원 72개소 54만1천857명, 교회나 복지시설 등 기타 145개소 1만9천 244명 등 745개소 142만1천 367명이 대피할 수 있도록 지정해 놓았다.

시군별로는 포항시 52개소 17만2천225명, 경주시 67개소 7만7천11명, 안동시 90개소 10만9천626명 등이 대피할 수 있다.

또 지진 발생 시 이재민 임시 주거 시설로 학교 604개소, 마을회관 405개소, 경로당 224개소, 관공서 60개소, 기타 153개소 등 1천 446개소에 40만9천686명을 임시 거주 할 수 있도록 지정했다.

포항시 114개소, 경주시 86개소, 안동시 71개소 등 읍면동별로 학교, 마을 회관 등도 임시 주거시설로 지정해 놓았다.

하지만 문제는 시민들 대부분이 시군 읍면동별로 지정해 놓은 대피 장소나 임시 주거 시설 지정 장소를 전혀 모르고 있다.

설령 대피 장소를 안다고 해도 대피 장소의 80%가량이 운동장이나 공원으로 지금처럼 여진이 계속 이어지면 장기간 안전하게 대피장소를 할 장소로 부적합 하다.

이처럼 일주일째 계속되는 여진으로 아파트 등 고층 건물이나 낡고 오래된 건물에서 생활하는 시민들은 지진을 피해 대피소나 임시 주거 시설에 머물고 싶어도 내진 설계가 제대로 갖춰진 안전한 대피소나 주거 시설은 없어 시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신과 함께 불안감은 더욱 고조 되고 있다.

여기다 도내 학교 시설물의 내진율이 18.7%에 그치는 데 비해 지정 수용 인원의 90%를 학교 시설물로 지정해 내진 보강이 안 된 건물에서 추가 지진이 발생할 경우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민 정미선(여·39·포항시)씨는 “아파트에 살면서 경주 지진 이후 큰 소리 나도 건물 밖으로 뛰쳐나와 몇 시간씩 집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불안에 떨고 있지만 안심하고 피할 수 있는 제대로 갖춰진 대피소 하나 없는 정부 대책이 한심하기만 하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경북도 관계자는 “여진이 계속되고 있지만 지진을 피해 장기간 대피 할 수 있는 대피소나 임시 주거 시설은 없어 대책을 마련 중”이라며 “지진 발생 시 당황하지 말고 행동 요령에 따라 식탁 밑이나 건물 밖 공터나 운동장 등으로 신속하게 대피하는 게 현재로써는 최선책”이라고 말했다.



정형기 기자
정형기 기자 jeonghk@kyongbuk.com

경북교육청, 안동지역 대학·병원, 경북도 산하기관, 영양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