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대가대·경북대·영남대 의대 교수들, 지지 입장문 발표

26일 오후 대구 남구 영남대학교병원 본관 앞에서 한 의대생이 정부의 의료정책에 반대하며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 등에 반발해 2차 총파업에 돌입했다. 경북일보 DB.
정부가 집단휴진에 나선 전공의와 전임의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데 이어 경찰고발까지 이어가자 대구·경북 의과대학 교수들도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정부가 현재 추진 중인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 4대 정책 철회와 원점에서 의료계와 재검토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계명대 의과대학 교수들은 지난 28일 성명을 통해 “대화를 통한 해결 요구에도 정부가 모든 가능성이라는 허울 좋은 말만 내걸고 협의의 문을 닫아서 의과대 학생과 전공의 및 전임의들이 어쩔 수 없는 마지막 선택으로 진료와 교육의 현장을 이탈하게 됐다”며 “정부는 여전히 밥그릇 싸움이란 여론몰이로 국민 불안을 야기해 정작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불철주야 힘쓰는 의료계와 국민 간 불신만을 더 조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계명대 의대 교수들은 무리한 정책에 항의하고 있는 전공의, 전임의 및 의대 학생들의 뜻을 적극 지지한다”며 “정부는 모든 책임이 스스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론을 이용해 국민 간의 갈등을 일으켜 책임을 이사들에게 돌려 극한의 투쟁으로 몰아가고 있음을 직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의료인의 양심에 따라 행동한 단 한 명의 학생, 전공의 및 전임의도 이번 사태로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된다”면서 “정부가 진정성 없는 협의 태도와 강경책으로만 일관한다면 교수들은 제자와 후배들을 보호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적극적으로 해나가겠다”고 경고했다.

대구가톨릭대 의대 교수회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의대 학생과 전공의, 전임의들이 불이익이나 부당한 처분을 받는다면 우리의 제자인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면서 “의대 학장단은 동맹 휴학과 국시 거부에 따른 불이익이 없도록 대처하고, 의료원과 병원도 피해가 가지 않도록 만반의 대책을 세워달라”고 요구했다. 또 “코로나19 사태 때 최전선에서 환자들을 지켜낸 의료인들의 숭고한 희생을 무시하고 정부는 현재의 재난적 상황을 빌미로 일방적인 정책을 밀어붙이며 이에 반대하는 의과대학 학생들과 전공의, 전임의 선생님들을 겁박하고 있다”며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불합리하고 비현실적인 의과대학 학생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설립 등 정부의 잘못된 정책들과 문제 해결을 악화시키는 강경한 대응책을 철회하고, 향후 의료계 전문가가 참여해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라”고 촉구했다.

경북대 의과대학 학장단과 의과대학 교수회도 27일 의과대학 동맹휴학과 국시 거부, 전공의파업에 대해 지지의 입장을 공식 표명하고 “현재 대부분 학생이 휴학원을 제출했고, 4학년 학생들은 9월 1일부터 시작되는 의사국가고시 실기시험 응시를 철회한 상태”라면서 “학생과 전공의가 불이익을 받는다면 좌시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어 “정부는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 후 의료계와 원점에서부터 심도 있게 재논의해 우리 사회 전체가 공감할 수 있는 합리적인 안이 만들어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영남대 의대 교수들도 “의대의 모든 학사가 파행으로 치닫는 상황은 정부의 일방적인 의료정책 추진과 전문가들과의 소통 부재로 인한 것”이라며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수렵이 정책형성과 추진의 기본임을 망각한 무책임한 처사의 결과”라고 정부를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제시한 4대 정책은 코로나19 상황이 종식된 후 원점에서 논의할 것과 의대생과 전공의, 전임의에 대한 불이익이 예견되는 일정의 진행과 법 집행을 전면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대한전공의협의회는 21일부터 진행해온 비상대책위원회는 30일 무기한 파업을 계속하기로 결정했고, 대한의사협회도 정부가 전공의와 대한의사협회를 각각 고발한 것을 공권력의 폭거로 규정하고 태도 변화가 없으면 9월 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 농성에 돌입할 예정이어서 의료 공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