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단식으로 장애인 탑승 어려워, 범퍼 등 외관 법규 위반 의혹도

지난 9일부터 안동에서 운행중인 트롤리 버스의 측면 모습. 계단형 탑승 방식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의 이용편의를 고려하지 않았다. 안동시 제공
안동시가 관광거점도시 선정 후 다양한 관광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장애인 편의는 뒷전인 데다 각종 불법 의혹도 제기돼 논란이다.

특히 최근 관광 활성화 목적으로 트롤리 버스 등이 도입됐지만 장애인이 이용하기 어렵고 대다수의 관광지 역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안동시는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을 순환하는 246번 시내버스 노선에 트롤리 버스를 투입해 하루 5차례 운행 중이다. 트롤리 버스는 안동시가 1900년대 노면전차를 재현해 3억5000만 원을 들여 제작했다.

문제는 버스 내부 좌석이 원목 벤치 형태로 만들어 불편하고 계단형식의 일반 버스로 장애인 탑승이 어렵다. 또 일반 버스보다 500㎏이 무거운 데다 높이도 낮춘 탓에 기존 순환코스에 병산서원이 포함됐지만, 차고가 낮아 비포장길인 이곳을 운행할 수 없게 됐다.
안동에서 운행중인 트롤리 버스의 정면.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을 순환하는 246번 시내버스 노선에 하루 5차례 운행되지만 일반버스보다 500kg 무겁고 높이도 낮아 비포장 도로인 병산서원 구간은 운행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버스 전면 범퍼를 철재 구조물로 날카롭게 제작해 자동차 관리법 위반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자동차 관리법상 ‘자동차의 범퍼는 플라스틱과 같은 충격흡수용 재질을 사용해야 하며, 둥근 형태의 모양으로 인체와 충돌 시 상해를 최소화하는 형상으로 규정’한다.

안동에서 운행 중인 트롤리 버스의 외관 등이 법규 위반으로 확인되면 자동차 관리 관련 법규를 단속하는 기관이 혈세를 들여 불법을 저지른 셈이다.

하회마을 셔틀버스도 문제다. 저상버스 형식이 아닌 계단식 탑승의 일반 버스로 장애인이 이용이 어려운 데다 세계문화유산 구간을 운행하는 대중교통이 경유 사용으로 매연을 내뿜는다는 점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어서다.

이러한 상황에도 안동시는 트롤리 버스를 3대를 추가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동시 도산면 선성수상길도 장애인 접근이 불가능한 것은 마찬가지다. 1㎞를 조성하는데 40억 원의 예산을 들였지만 진입로 자체가 가파른 계단 형식으로 이어지다 보니 휠체어나 지체 장애인은 엄두도 못 내는 실정이다.

월영교 인근에 조성된 ‘호반 나들이 길’ 역시 곳곳에 계단과 경사로로 조성돼 있어 휠체어를 탄 장애인 접근이 불가하다.

이를 두고 안동시 옥동에 사는 시민 A(45) 씨는 “울산의 경우 안동과는 다르게 요금을 높이고 트롤리 노선을 따로 만들었고, 서울의 트롤리는 기존 노선을 활용하지만 대도시라는 장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에서 온 관광객 B(52) 씨는 “안동시가 트롤리 버스를 대대적으로 홍보해 KTX를 이용해 안동에 도착했지만 트롤리 버스와 연계가 전혀 안 돼 최소 30분에서 1시간 넘게 기다렸다”며 “다음부터는 렌터카나 택시를 이용하겠다”고 불편함을 토로했다.

또 246번 버스노선을 이용하는 시민은 “의자가 불편해 그냥 일반 246번을 기다렸다 이용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안동시 관계자는 “남양주시에서 트롤리 버스를 도입 성공사례가 있어 벤치마킹해서 안동시도 도입했다”며 “일부 불편할 수 있으나 관광거점도시에 걸맞게 도산서원과 길안 만휴정을 오가는 트롤리 버스를 3대 더 추가 도입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롤리 버스 제작은 버스제작업체에 의뢰해서 내용은 알 수 없다”며 논란을 일축했다.

이정목 기자
이정목 기자 mok@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