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치료자 발생 위험 치료자 5.7배

결핵균에 감염됐지만 활동성이 없어 발병하지 않은 ‘잠복 결핵’ 상태인 경우, 미리 치료만 받아도 83%의 예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질병관리청은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약 3년간 집단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국가 잠복 결핵 감염 검진 사업을 진행한 뒤, 중기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잠복 결핵 감염’이란 결핵균에 감염돼 몸속에 결핵균이 존재하나 활동하지 않아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감염자의 약 10%가 결핵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석자료에 따르면 의료기관·산후조리원·아동복지시설 종사자 및 병역판정 대상자, 고등학생, 교정시설 재소자 등 약 112만 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 잠복 결핵 감염 양성률은 15.6%(17만5000명)이었다.

또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에서 양성률이 높았다.

대상자별 검진 시점과 추적 관찰 기간 등을 고려한 발생률을 살펴보면 잠복 결핵 감염자 가운데 치료를 받지 않은 사람의 결핵 발생률은 10만 인년(人年) 당 172.3건으로, 치료한 사람(30.1건)의 5.7배였다.

잠복결핵감염 음성자(10.3건)에 비하면 17.2배 높은 셈이다.

인년은 각 개인의 서로 다른 관찰 기간을 합한 개념으로, 단순한 비율보다 시간적 차원을 더 잘 반영한 수치다.

질병청은 “이는 잠복 결핵 감염 양성자가 잠복 결핵 치료를 완료하면 약 83%의 활동성 결핵 예방 효과가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다만, 잠복 결핵 감염자들의 치료율은 다소 낮은 편이었다.

질병청에 따르면 감염자 약 17만5000명 중 10만6000명가량이 의료기관을 방문했으며, 이 중 6만6000명이 치료를 시작했다. 치료를 모두 완료한 사람은 5만4000여 명으로, 전체 감염자의 약 30%다.

이와 관련 질병청 관계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은 경우를 보면 고령이거나, 저소득층, 평소 동반한 질환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며 “젊은 연령층이나 동반 질환이 많은 경우 치료를 중단한 사례가 많아 치료를 저해하는 위험 요인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또한 연구 기간 내 활동성 결핵이 발생한 908명 중 62.4%(567명)는 검사 후 1년 이내에 결핵 진단을 받았다.

집단시설 종사자나 결핵 환자의 접촉자 등 고위험군은 잠복 결핵 감염 검진 대상자이다.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전국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치료비는 정부가 부담한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잠복 결핵 감염의 진단과 치료는 결핵 퇴치의 핵심”이라며 “잠복 결핵 감염으로 진단받은 사람은 이른 시일 내 가까운 잠복 결핵 감염 치료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