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다중이용시설로 미등록
30년 넘은 노후 시설도 111곳

경북도내 목욕탕 현황(경북일보)
‘부산 목욕탕 화재폭발사고 (23명 부상)’계기로 경북 도내 소규모 노후 목욕탕도 상시 안전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북 22개 시군 목욕탕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501곳이고 이중 다중이용업소가 78곳(경북도소방본부), 소규모 목욕탕이 423곳, 30년 이상 된 목욕탕이 111곳이다. 현재 소규모 목욕탕의 경우는 화재안전관리가 의무화돼 있는 소방법상 ‘다중이용업소’에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

목욕탕이 다중이용업소가 되려면 수용 인원 100인 이상의 찜질방 시설을 갖출 때만 인정된다. 다중이용업소가 되면 2년에 한 번 소방안전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고, 안전시설 정기 점검 등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하지만 소규모 목욕탕에는 이런 의무가 면제되고 안전관리도 영업주 판단에 맡겨진다.

경북 도내에는 부산 목욕탕 폭발사고 원인으로 추정되는 ‘유증기’와 관련이 있는 연료(기름)탱크가 설치된 곳 목욕탕이 145곳에 달한다. 오래된 목욕탕일수록 유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추가 사고에 대비한 점검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소방에서는 기름탱크 등에 대해서는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점검은 하고 있지만, 담당소방서의 규모나 인력의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위험물이 많고 소방인력이 적은 지역은 점검 주기 다른 곳보다 길어지는 등 차이가 나는 상황이다.

특히 목욕탕 폭발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연료(기름)탱크가 지목되고 있다.

경북도내 목욕탕 현황(경북일보)
10일 경북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옥내 탱크저장소(기름탱크)가 설치된 곳은 모두(모텔, 목욕탕 등) 1661곳이다.

이중 목욕탕 옥내 탱크 저장소(기름탱크)는 145곳(옥내 탱크 87곳, 지하 탱크 58곳)이다.

도내 목욕탕 501곳 중 상당수가 다중이용시설로 등록돼 있지 않아 기름 탱크 시설 설치 등의 여부만 경북도소방본부가 파악하고 있으며 30년이 넘은 시설도 111곳이 된다.

노후화된 목욕탕 시설일수록 사고 위험이 크기에 추가 사고를 대비한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다.

경북도소방본부 관계자는 “소규모 노후 목욕장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며 “현재 중앙에서 도내 목욕탕 현황에 대한 안전 점검 및 전수조사를 하달에 이번 주부터 진행한다”라고 밝혔다.

노후 연료탱크 안전점검이 형식에 그칠 우려가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북도립대학교 소방방제학과 정태헌 교수는 “영세 목욕탕에서 쓰는 기름보일러를 경제적 여건이 안 돼 그대로 쓰다 보니 정기점검을 해도 외관만 보는 형식적 점검이 대부분이다”며 “사고 예방을 위해서라도 노후 연료저장소는 소방관서 또는 목욕탕협회에서 안전점검을 강화할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1일 오후 1시 40분께 부산시 동구의 한 목욕탕 건물1층 지하에 설치된 연료탱크에서 2번의 폭발 화재가 발생해 진화에 나섰던 소방관 등 24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상만 기자
이상만 기자 smlee@kyongbuk.com

경북도청, 경북경찰청, 안동, 예천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