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연구진 "몸무게 2% 차지…추가적인 생태 독성학 연구 필요"

괭이갈매기.
우리나라 동해안 최초의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독도와 울릉도에 서식하는 괭이갈매기 깃털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첫 검출됐다.

3일 경희대 한국조류연구소가 국제학술지 해양오염학회지 11월호에 ‘한국 괭이갈매기 깃털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첫 보고’에서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해 6월 독도와 울릉도에서 괭이갈매기 17마리를 포획, 가슴깃을 떼어내 과산화수소로 처리한 뒤 적외선분광기로 검사한 결과 미세플라스틱 170g, 73개를 검출했다.

미세플라스틱은 길이가 5㎜ 미만인 플라스틱 조각을 말하는 것으로 포획한 괭이갈매기의 몸무게가 평균 490g이었으니 몸무게의 2%를 미세플라스틱이 차지하고 있었던 셈이다.

미세플라스틱을 종류별로 보면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이 각각 26개와 21개로 가장 많이 나왔다.

PE와 PP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아 부력이 크므로 해수면에 떠 있는 바닷새 깃털에 붙기 쉽다. 폴리스타이렌(PS)도 10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도 16개 발견됐으며 미세플라스틱이 나오지 않은 개체는 없었다.

연구진은 “깃털에 붙은 미세플라스틱은 유기오염물질이나 독성화학물질과 흡착해 건강을 해칠 수 있고 깃털을 둘러싼 기름 막을 흡수하면 방수성과 보온성을 저해해 생존력을 떨어트릴 수 있다”며 “아직 깃털에 있는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2차 피해는 보고된 적 없지만 추가적인 생태 독성학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김윤배)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깨끗한 울릉도, 독도 바다는 울진, 삼척 등 동해안과 함께 중국, 일본, 북한 등지에서 바람과 해류를 따라 울릉도 해안까지 떠밀려온 해양쓰레기로 해양경관 훼손은 물론이고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기지에서도 해양쓰레기에 대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의 주범인 해양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국가 차원의 근본 정책마련이 매우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박재형 기자
박재형 기자 jhp@kyongbuk.com

울릉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